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 이론의 이해 = Moral education / 조강모 저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 이론의 이해 = Moral education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 이론의 이해 = Moral education / 조강모 저
  •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4
  • ·형태사항 364 p. :도표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5408637  93370 :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75.419  듀이십진분류법-> 372.83  
  • ·주제명 초등 교육[初等敎育]도덕(교과과목)[道德]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조강모 저 2014 SE0000138657 375.419-14-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부 
도덕성이란 무엇인가? 

1장 도덕성의 발달과 영역 15
 1.1. 사회의 현실과 도덕/인성교육의 방향 15
 1.2. 도덕성의 발달: 신화와 원리 16
 1.3. 도덕성의 영역 20 

2장 도덕성의 구성요소 29 
 2.1. 인지적 도덕성 30
 2.2. 정의적 도덕성 30 
 2.3. 행동적 도덕성 31
 2.4. 환원주의적 오류 32

제2부 
도덕성 발달의 인지적 측면과 교육 

3장 인지발달론적 도덕교육론 37
3.1. 인지발달론적 도덕교육론의 자유주의적 기초 37
3.2. Piaget: 도덕판단의 두 단계 39 
3.3. Kohlberg: 도덕판단의 3수준 6단계 40
3.4. 인지발달적 도덕교육론의 재음미 44 
3.5. Kohlberg의 초기 이론에 의한 도덕과 수업모형 49 

4장 Kohlberg 초기 이론의 보완 57 
4.1. 친사회 행동의 발달에 관한 연구 57
4.2. 분배정의 개념의 발달단계 64
4.3. 부모의 권위에 대한 아동들의 생각 68
4.4. 친구관계의 개념 76
4.5. 조망수용 81 

5장 가치명료화 접근 91
5.1. 가치명료화 접근의 목적 92
5.2. 가치명료화 접근의 내용 92
5.3. 가치명료화 접근의 방법 93
5.4. 가치명료화 접근의 문제점 99

6장 도덕적 사고력 중심의 수업모형 103

제3부 
도덕성 발달의 정서적 측면과 교육

7장 배려윤리 교육 109
 7.1. 남녀간 도덕성 발달의 성차 109
 7.2. 배려윤리에서 도덕교육의 목적 118
 7.3. 도덕교육의 내용 119
 7.4. 도덕교육 방법론 122 

8장 도덕적 정서의 발달 131
 8.1. 공감적 고통의 발달 132
 8.2. 죄책감의 발달 137
 8.3. 공감, 죄책감, 도덕적 행동: 3자간의 관계 140 

9장 정의, 정서적 덕목 145
 9.1. 공감과 정의의 결합 145
 9.2. 개인적 경험-구경꾼 또는 피해자로서 146
 9.3. 정의의 사회화-가정에서 부모의 귀납적 설명 147
 9.4. 정의의 사회화-가정 밖에서 또래상호작용, 학교, 매체를 통해서 149 

10장 정의적 측면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전략 157
 10.1. 외국의 프로그램들 157
 10.2. 초등학교 도덕과 교사용지도서의 수업전략 159 
 10.3. 정의적 측면 도덕과 수업 절차의 개선(안) 162
 10.4. 정의적 측면 위주 도덕과 수업의 실제 167
 10.5. 정의적 측면 중심의 도덕과 수업모형 173

11장 도덕적 정서 중심의 수업모형 179 

제4부
도덕성 발달의 행동적 측면과 도덕과 교육 

12장 행동주의 도덕발달 모델 183 
 12.1. 행동주의 도덕발달 모델의 기본적 가정 183
 12.2. Hartshorne & May의 연구 184
 12.3. 행동주의, 정신분석, 작동적 조건화 185
 12.4. 사회학습, 인지행동모델 186
 12.5. 귀인과 인자적 부조화 190

13장 정의와 공동체를 위한 교육 197
 13.1. 정의공동체의 의미 197
 13.2. 얻어진 교훈 199 
 13.3. 정의공동체접근의 기본아이디어 201 
 13.4. 정의공동체의 제도적 요소 203
 13.5. 도난사건의 예 205 

14장 도덕과 봉사학습 모형의 탐색 211
 14.1. 봉사학습의 이론적 배경 211
 14.2. Roberts의 봉사학습 활동 절차 214
 14.3. 우리나라에서 봉사학습 프로그램(안) 218 
 14.4. 교사의 권위와 지도 231 
 14.5. 도덕적 봉사학습 활동의 평가 233 

15장 덕 접근과 초등학교 도덕과의 덕목들 251
 15.1. 덕 접근 개요 251 
 15.2. 초등학교 도덕과의 덕목들 253

16장 도덕적 행동 중심의 수업모형 269 

제5부 
도덕성 발달의 사회 환경적 측면과 도덕과 교육

17장 부모의 권위와가정의 규범 275
 17.1. 부모의 일반적 연할 275
 17.2. 부모의 자녀 양육태도 281 
 17.3. 부모의 양육태도와 도덕교육 프로그램 286
 17.4. 귀납적 설명 291
 17.5. 문화적 영향의 의미: 가치의 내용, 가치의 전달 방식 296

18장 문화와 도덕성 305 
 18.1. 도덕철학의 해묵은 논쟁 305
 18.2. 도덕성 발달에 대한 문화적 조망 306
 18.3. 도덕성의 본질 316

19장 초등학교 도덕/인성교육의 과제와 전망 323 
 19.1. 도덕교육의 실제 324
 19.2. 인성교육의 실제 331
 19.3. 초등학교 도덕/인성교육의 과제와 전망 344 

찾아보기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