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현대 연극 100년사 / 저자 : 김대현,김미도,김성희,김숙현,김정수,김중효,김태훈,김향,김효,나진환,노승희,노이정,명인서,백로라,양기찬,윤금선,이경미,이원현,이은경,이진아,이항나,임혜경,정주영,정호순,최재오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현대 연극 100년사 / 저자 : 김대현,김미도,김성희,김숙현,김정수,김중효,김태훈,김향,김효,나진환,노승희,노이정,명인서,백로라,양기찬,윤금선,이경미,이원현,이은경,이진아,이항나,임혜경,정주영,정호순,최재오
  • ·발행사항 파주 : 집문당, 2009
  • ·형태사항 30, 784 p. :삽화 ;27 cm
  • ·주기사항 한자표제:韓國 近·現代 演劇 100年史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0314008  93680 : \7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680.911  듀이십진분류법-> 792.09519  
  • ·주제명 한국 연극[韓國演劇]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김대현,김미도,김성희,김숙현,김정수,김중효,김태훈,김향,김효,나진환,노승희,노이정,명인서,백로라,양기찬,윤금선,이경미,이원현,이은경,이진아,이항나,임혜경,정주영,정호순,최재오 2009 SE0000190011 680.911-15-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발간사: 채승훈
인사말: 심정순
인사말: 오세곤
총론: 김방옥
1장 연기
Ⅰ. 또 다른 한국연극 100년을 위한 우리들의 몸짓(김태훈)
1. 살아 숨쉬는 거대한 공룡과의 조우
2.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을 관통하는 연기사
Ⅱ. 한국적 움직임과 화술의 모색: 1910년부터 1920년까지(김정수)
1. 머리말
2. 연기형성 요인의 변화
1) 영웅적 인물에서 근대적 인물로
2) 웅변적 대사에서 대화적 대사로
3) 즉흥적 공연방식에서 대본 중심으로
3. 연기에서의 변화
1) 움직임과 화술의 다양화
2) 상대역에 대한 반응의 발아
3) 일상적 동작과 화술의 시도
4. 나가는 글: 연기양식의 의미
Ⅲ. 한국적 움직임과 화술로의 진입: 1930년부터 해방 이전까지(김정수)
1. 머리말
2. 연기형성 요인의 변화
1) 번역극에서 창작극으로
2) 체계적 훈련의 중요성 인식
3) 대극장 공연과 정숙한 관람태도
3. 연기에서의 변화
1) 기계적 움직임과 어조의 탈피
2) 상대역에 대한 반응의 구현
3) 전통적 움직임과 어조의 시도
4. 나가는 글: 1930년대 연기양식의 의미
Ⅳ. 악극-신파조 연기의 정점, 신극-번역조 연기의 출현: 1945년부터 1960년까지(이항나)
1. 시대 배경
1) 번역조 연기의 탄생
2) 악극의 전성기
2. 연기교육과 데뷔
1) 근대극 운동의 선구자 복혜숙: ‘조선배우학교’
2) 이해랑, 김동원: ‘동경학생예술좌’
3) 고향미, 윤부길: ‘경성음악전문학원’
4) 백성희: ‘빅타 무용 연구소’, 김백희: ‘OK무용 연구소’
5) 김승호, 김선영: 극단 ‘연구생’
3. 텍스트를 통해 살펴본 연기양태
1) 셰익스피어의 ‘전시적’ 연기
2) ‘번역조’ 연기
3) ‘신파조’ 연기
4) 신파극의 멜로드라마적 특성을 통해 본 악극 연기
Ⅴ. 1960년부터 1979년까지의 배우들: 1960년부터 1979년까지(김대현)
1. 시대규정: 60년대, 70년대의 시대별 특징과 배우(라는 직업)와의 관계
1) 시대와 연극
2) 시대와 배우
2. 60년대, 70년대 배우들의 작품 활동과 그들이 남긴 영향
1) 서구 사실주의 연극의 영향과 연기 스타일
2) 반사실주의 연극과 전통연희의 발견을 통한 연기의 또 다른 지평
3. 배우의 연기에만 의존하는 연극: 일인극의 유행과 영향
4. 정리: 60년대, 70년대 배우의 의미와 다음 세대에 남겨진 과제들
Ⅵ. 사적 접근(historical approach)으로 본 80년대, 90년대 연기사: 1980년부터 1999년까지(나진환)
1. 들어가기: 연구방법론과 자료 정의
2. 80년대
1) 사회적 배경과 연극흐름
2) 80년대 연기양식
3. 90년대
1) 사회?문화적 배경과 연극 흐름
2) 90년대 연기 양식
4. 인물
1) 80년대
2) 90년대
2장 연출
Ⅰ. 1908년부터 1950년대까지의 한국 근대극 연출(노승희)
1. 신연극의 등장과 신파극 연출(1908-1910년대)
1) 신연극의 등장 배경과 연출 기능의 요구
2) 신파극의 유입과 단장의 연출가 역할
2. 서구 근대극의 도입과 연출부의 출현(1920년대)
1) 연습의 변화와 과장된 연기의 탈피
2) 가무극의 발전과 스타 중심의 무대 관행
3) 배경화를 통한 사실적 환영의 추구
3. 사실주의 연극의 도입과 전문 연출가의 등장(1930년대)
1) 희곡 해석자로서 연출 기능의 확대
2) 연습 체계의 확립과 연출의 행동선 지정
3) 연기 스타일의 분화
4) 3면벽의 무대 공간 구성
4. 해방 전 국민연극의 낭만적 사실주의 연출(1941-1945.8)
1) 역사극 레퍼토리와 감상적 요소의 확대
2) 무대 시각화의 강조
5. 해방 후 이념 대립과 사실주의 연출의 분열(1945.8-1950)
1) 좌익극의 선동적 사실주의 연출
2) 우익 진영의 감상적 사실주의 연출
6. 전쟁의 경험과 대중적 사실주의 연출(1950년대)
1) 흥행을 위한 대중적 레퍼토리 선정
2) 스타 중심의 감상적 연기
3) 사실적 재현의 발전과 상징적 공간 연출의 시도
Ⅱ. 1960년대 이후 한국 현대극 연출(백로라)
1. 머리말
2. 현대 연극?연출의 과도기: 1960년대
1) 공연환경 및 연극계의 흐름
2) 기성 연출가들의 동향과 사실주의 연극?연출의 정착
3) 연출계의 세대교체
4) 과도기 연극의 연출사적 의미
3. 현대 연극?연출의 전환기: 1970년대
1) 공연환경 및 연극계의 흐름
2) 사실주의 연출의 현대적 계승
3) 서구 아방가르드 연출 형식의 수용
4) 전통의 현대화 운동과 한국적 연출미학의 모색
4. 충돌과 실험, 다양성의 시대: 1980년대 이후
1) 공연환경 및 연극계의 흐름
2) 사실주의 연출의 다양화?현대화
3) 실험적 연출의 다층화?토착화
4) 전통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한 새로운 연출미학 창조
5. 맺음말
3장 극작
Ⅰ. 초창기 1908년부터 1945년대까지의 한국 극작사(명인서)
1. 신연극 의 등장과 근대극의 출발(1909-1910년대)
1) 근대극의 출발
2) 최초의 신연극
2. 신파극의 수용과 창작 희곡의 성립(1910년대)
1) 신파극의 수용과 발전
2) 신파극의 의의
3. 사실주의를 지향한 신극 운동(1920년대)
1) 신극 운동
2) 극작가의 출현
4. 신극의 본격적인 발전과 근대극의 확립
1) 극예술연구회
2) 유치진
3) 함세덕
4) 사실주의극
5. 근대극의 발전과 분화
1) 시대 정세와 맞물린 경향극
2) 희극
3) 대중 신낭만극
4) 친일극으로의 변모
Ⅱ. 정착기 1945년부터 1970년대까지의 한국 극작사(김미도)
1. 해방 직후의 좌우익 희곡
2. 전란이 남긴 희곡
3. 사실주의의 수정과 절충
4. 희극의 계승과 발전
5. 새로운 실험극과 서사극, 부조리극의 영향
6. 사실주의의 성숙
7. 역사극의 번성
Ⅲ. 발전기 1970-90년대 극작가(작품)들의 등장과 다양한 공연 문화의 활성화(김향)
1. 탈사실주의적인 성향 강화와 공연 문화의 활성화
2. 전통연희 양식의 현대화를 통한 정체성 모색
1) 오태석: 전통 연희의 원용과 ‘용서와 화해’의 메시지
2) 최인훈: 전통 설화의 복원과 한국적인 심성의 근원
3) 윤대성: 전통 연희의 재창조를 통한 부조리한 현실 풍자
4) 허규: 전통 연희의 발굴을 통한 정체성 찾기
5) 김지하: 관객 참여를 통한 전통 연희의 현대화
6) 황석영: 마당극 양식 정립과 민중의 혁명성
7) 김명곤: 전통 연희를 원용한 역사의 재구성
8) 이윤택: 전통 연희의 원용을 통한 대중성 모색
3. 부조리극?서사극?잔혹극 등 서구 극양식 실험을 통한 현실 비판
1) 이근삼: 탈리얼리즘과 부조리한 현실 풍자
2) 박조열: 분단 현실의 우의적 형상화
3) 이현화: 부조리한 현실 인식과 관객의 감각에의 호소
4) 이강백: 현실의 질곡에 대한 우의적 형상화
5) 극단 ‘연우무대’의 극작가들: 황지우, 이상우, 김광림
4. 음악극과 여성연극 활성화
1) 김상열: 현대 창작 음악극의 길 개척
2) 김민기, 윤호진, 오은희, 김정숙: 한국 창작 뮤지컬의 활성화
3) 정복근: 역사의식과 여성의식
4장 무대미술
Ⅰ. 머리글: 한국무대미술의 태동과 전개(김중효)
Ⅱ. 10-30년대 무대미술: 실내극장의 등장과 배경화의 시대(김중효)
Ⅲ. 40-50년대 무대미술: 해방 전후 무대미술의 양상(김중효)
Ⅳ. 60-70년대 무대미술: 전통의 현대화와 실험무대의 등장(김중효)
Ⅴ. 80-90년대 무대미술: 다양한 연극의 출현과 무대미술의 변용(김중효)
Ⅵ. 80-90년대 연극무대예술에 대한 단상(양기찬)
1) 80년대 연극무대예술에 대한 단상
2) 90년대 무대미술에 대한 단상
3) 80-90년대 무대제작소의 현황과 교육에 대한 단상
4) 89-90년대 무대미술가
Ⅶ. 맺음글: 21세기 한국 무대미술의 위상과 전망(김중효)
5장 극단
Ⅰ. 한국 근?현대연극 100년 극단사 서문(오세곤)
Ⅱ. 극단의 정체성 형성 과정: 195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김숙현)
1. 1950년 이전 주요 극단의 연극 활동과 쟁점
1) 국내 최초의 극단, 혁신단
2) 근대극운동의 출발: 극예술협회와 토월회
3) 극예술연구회
2. 계몽주의적 민족극의 실체: 신협의 계보
1) 신협 성립의 배경과 전신(前身)
2) 반공이데올로기의 승계와 미국연극 전파자로서의 신협
3. 엘리트의식에서 출발한 안티테제들: 실험극장을 위시한 동인제 극단
4. 충만한 실험의식, 전통연희, 그리고 대중성: 동랑레퍼터리와 민예, 민중극단
5. 현실 비판적 참여연극의 제도권 진입과 인정: 연우무대와 목화레퍼토리 컴퍼니
6. 문화상호주의적 소통과 일상성: 연희단 거리패와 여행자 그리고 골목길
Ⅲ. 소멸 극단(정주영)
1. 들어가며
2. 본격적인 신파극 시대(1910년대)
3. 진정한 신극운동의 태동(1920년대)
4. 신극운동과 지식연극(1930년대)
5. 이데올로기적 갈등과 격동기(1940년대)
6. 한국전쟁 시기의 극단(1950년대)
7. 동인제 극단 시대의 출범(1960년대)
8. 소극장 운동 시기(1970년대)
9. 1980년대 이후의 극단
10. 맺으며
Ⅳ. 현존 극단(오세곤)
1. 들어가며
2. 30년 이상 극단
3. 20년 이상 30년 미만 극단
4. 10년 이상 20년 미만 극단
5. 10년 미만 극단
연극제 참가작 및 연극 부문 수상기록
6장 극장
Ⅰ. 들어가는 글(이은경?임혜경?정호순)
Ⅱ. 극장의 등장(이은경)
1. 근대 초기의 극장
1) 협률사(協律社)와 원각사
2) 광무대: 최초의 실내극장
3) 단성사: 민간 연극영화 겸용극장
4) 기타 민간극장
2. 근대의 전문극장
1) 조선극장: 민간 연극영화 겸용극장
2) 동양극장: 민간 연극전용극장
3) 부민관: 관립 다목적 복합문화공간
Ⅲ. 국공립극장의 전개
1. 전기: 외형 위주의 다목적문화공간-이은경
1) 중앙국립극장
2) 세종문화회관
2. 후기: 세계적 수준을 지향하는 전문공연장-임혜경
1) 아르코 예술극장
2) 예술의전당
IV. 서울 외 지역 지방극장 현황(임혜경)
1. 대전문화예술의전당
2. 대구문화예술회관
3. 부산문화회관
4.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5. 경기도 문화의전당
6. 의정부 예술의전당
7. 안산 문화예술의전당
8. 과천시민회관
9. 덕양어울림누리와 일산아람누리
10. 나가며
V. 민간 소극장, 역사와 비전(정호순)
1. 소극장운동의 전개과정
2. 현대의 소극장
1) 드라마센터
2) 까페 떼아뜨르
3) 에저또 소극장과 3?1로 창고극장
4) 실험 소극장
5) 민예 소극장
6) 세실 소극장
7) 공간사랑 소극장
8) 산울림 소극장
9) 연우 소극장
10) 대학로 소극장
11) 샘터파랑새 소극장
12) 바탕골 소극장
13) 학전소극장
14) 혜화동 1번지
VI. 나오는 글(은경?임혜경?정호순)
7장 교육
Ⅰ. 연극교육사 서문(이송)
Ⅱ. 1920-40년대 배우양성론과 그 활동 양상(윤금선)
1. 머리말
2. 현철의 배우양성 활동
3. 1930년대 신극계의 배우양성론
4. 영화학교와 배우양성론
5. 배우양성 담론과 그 활동을 통한 근대적 배우 양성: 맺음말을 대신하여
Ⅲ. 1950년대 대학연극의 발전과 전개(김효)
1. 대학연극 개괄
1) 1950년대: 대학연극의 전성시대
2) 대학연극의 예술적 이념: 리얼리즘
3) 연기 교육의 지표: 스타니슬라프스키
2. 대학 일반 연극부 활동 사례
1) 고려대학교(고려극예술연구회)
2) 연세대학교(연희극예술연구회)
3. 특수 연극부 활동 사례
1) 연세대학교: 세브란스의대 연극부
2)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원어연극
Ⅳ. 1960년대 이후 대학 연극전공학과의 설립과 성장(최재오)
1. 학생연극 개괄
2. 연극전공학과 설립 시기와 성장
3. 연극전공학과의 커리큘럼 비교
4. 이론과 실기
5. 대학연극교육의 과제
Ⅴ. 중등학교에서의 연극전공학과의 설립과 연극교육의 확산(이원현)
1. 예술특목학교에서의 연극전공학과
1) 교육현장의 연극교육시스템
2. 일반중등학교 내의 연극교육
1)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연극교육
2) 학교 내 교육과정안에서의 연극교육
3. 현 연극예술교육의 과제
8장 평론
Ⅰ. 1900년대-1950년대 한국연극비평의 양상과 역할(김성희)
1. 1900년대-1950년대까지의 한국연극의 흐름과 연극비평
2. 1900년대-1910년대 연극비평: 연극개량론과 비평가의 등장
1) 연극개량론
2) 비평가의 등장
3. 1920년대 연극비평: 근대극론
1) 윤백남
2) 현철
3) 김우진
4. 1930년대 연극비평: 다양한 연극론의 대두
1) 흥행극론
2) 근대극론
3) 프롤레타리아 연극론
5. 1940년대 전반기 연극비평: ‘국민연극론’
6. 해방기부터 1950년대까지의 연극비평: 좌우익 연극론의 대립과 연극운동론
1) 좌익 연극론
2) 우익 연극론
Ⅱ. 1960년대-1980년대 한국연극비평의 양상과 역할(노이정, 이진아)
1. 1960-1980년대 한국연극의 흐름과 연극비평
1) 문화예술정책의 변화와 한국연극
2) 민족문화 담론의 형성과 전개
3) 번역극 시대의 창작극 활성화를 위한 노력
4) 소극장 시대의 개막과 연극제작 환경의 변화
2. 평단의 형성과 비평의 자의식
1) 평단의 형성과 발전
2) 메타 비평의 전개
3. 해외연극이론 및 비평론의 영향
1) 서구 연극론, 연출론, 연기론의 소개
2) 리얼리즘 논쟁
4. 전통연극 담론의 전개
1) 담론의 의의 및 형성 조건
2) 전통연극의 범위, 단절과 복원
3) 굿의 연극학과 아시아연극론
4) 전통의 현대적 수용 담론
5) 전통극 수용의 문제점
5. 정치연극 담론
1) 격동의 시대, 한국연극의 정치성
2) 마당극 담론: 미학과 정치학
3) 마당극 담론의 변화 양상
4) 마당극 비판
Ⅲ. 1990년대-2008년까지의 한국연극비평의 양상과 역할(이경미)
1. 1990년대-2008년까지의 한국연극의 흐름과 연극비평
2. 1990년대 이후 연극비평의 정체성
3. 평론에 비춰진 90년대 이후 한국연극의 지형도
1)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과 한계
2) 문화상호주의적 실험들: 전통의 현대화와 해외 초청 공연 그리고 수입 및 합작 공연까지
3) 희곡에서 공연까지, 한국연극의 현실에 대한 비평적 진단과 전망
4. 연극현장 및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생산적 비평담론을 향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