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국민행복시대는 열릴 것인가? : 한국경제성장의 허와실 그리고 미래 / 저자 : 양종기
국민행복시대는 열릴 것인가? : 한국경제성장의 허와실 그리고 미래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국민행복시대는 열릴 것인가? : 한국경제성장의 허와실 그리고 미래 / 저자 : 양종기
  • ·발행사항 서울 : ONE, 2013
  • ·형태사항 253 p. ;21 cm
  • ·총서사항 (양종기 박사의 경제이야기 ;1)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4811191  03330: \1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0.911  듀이십진분류법-> 330.9519  
  • ·주제명 한국 경제[韓國經濟]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양종기 2013 SE0000011978 320.911-13-7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1. 박근혜 집권기(2013∼2017년) 국민행복시대는 열릴 것인가?
2. 한국 1인당 국내총생산의 장기 전망
3. 한국의 잠재성장률과 장기성장 전망
4. 2013년 세계 정치 경제 전망
5. 미래 세계경제의 중기 전망과 상황
6. 세계경제 및 한국경제의 중장기 성장 전망(2011∼2060년)
7. 세계 5위 경제 대국과 한국경제
8. 21세기 선진국에 비친 한국과 한국인 그리고 경제발전
9. 한국의 경제성장은 누구를 위해 달려가야 하고 경제규모는 누구를 위해 커져야 하는가?
10. 한국의 총저축률 30년 만에 최저치
11. 경제 민주화
12. 국가자산, 신생기업 생존, 여성사업체
13. 한국의 자영업 실태
14. 소득격차 확대 심화
15. 베이비붐 세대의 빈약한 연금
16.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한국 가계는 후진국 형 식료품비 지출구조로 바뀌었다.
17. 기업의 현금보유 급증과 설비투자 침체 그리고 경제성장 지연
18.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현재의 국민경제 상황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가?
19. 박근혜 보수정부의 저소득계층 가계부채 해법
20. 깡통아파트, 깡통주택, 깡통전세 집, 깡통상가
21. 지방경제간 성장격차 심화
22. 박근혜 보수정권의 재탄생
23. 구미 선진국이 본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
24.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정책
25. 복지 재원의 확보 문제
26. 2013년도 예산 342조원과 확대재정정책
27.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의 정치개혁
28.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사법개혁
29.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교육정책
30. 박근혜 당선인의 물가정책 및 농산물 수급안정과 개인서비스요금 정책
31.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국방 외교 정책
32.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대북정책
33.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등용 인물들은?
34. 중국의 개혁과 박근혜 새 정부
35. 세계경제와 한국경제의 중장기 전망
36. 중국과 아세안 경제성장 전망
37. 이명박 보수정부의 경제실적
38. 한국, 일본, 독일, 중국의 경제기적
39. 장기성장과정에서 선진국은 1950년 이후 25년 동안 급속히 성장했다.
40. 한국경제의 역사적인 성장 과정
41. 4용의 경제성장은 거위비행이론에 기초했다.
42. 한국의 고도성장은 고용증대효과를 동반하지 못했다.
43. 한국 경제의 낮은 고용창출
44. 한국경제는 장기 저성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45. 한국 경제는 정상에 다다른 지금 어디로 가야하나?
46. 한국경제는 성장의 한계에 도달했다.
47. 한국의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48. 왜곡된 한국 경제구조
49. 한국은 지속적 발전이 가능한가?
50. 파행적인 한국경제구조가 안정적 고성장을 가로 막는다.
51. 소득분배의 악화와 왜곡구조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의 장애물이다.
52. 서민들의 경제생활은 팍팍해지고 있다.
53. 분배국민소득의 격차 확대는 성장의 한계를 빨리 불러온다.
54. 한국경제는 안정적인 성장을 하였지만 중산층이 감소하고 빈곤층이 급증했다.
55. 한국의 고도성장은 뼈아픈 고통을 유발하고 있다.
56. 한국 시장은 정상적인 경쟁적 시장질서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