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허생을 아십니까? 변부자를 아십니까? / 지은이 : 김신훈
허생을 아십니까? 변부자를 아십니까?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허생을 아십니까? 변부자를 아십니까? / 지은이 : 김신훈
  •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3
  • ·형태사항 174 p. ;22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5406206  03810: \1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5.04  한국십진분류법-> 813.5  듀이십진분류법-> 650.1  듀이십진분류법-> 895.732  
  • ·주제명 성공 전략[成功戰略]경영(관리)[經營]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신훈 2013 SE0000012728 325.04-13-24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들어가는 말 

1. 허생은 남촌(南村)인 묵적동에 살았다.
2. 허생은 10년 목표로 글공부를 하였으나 7년 만에 책을 덮는다.
3. 허생은 한양 제일의 시장 운종가(雲從街)에 나타나 한양에서 제일가는 부자를 찾는다. 
4. 허생은 변부자에게 1만 냥(兩)을 청한다. 
5. 변부자는 1만 냥을 아무런 조건 없이 빌려준다.
6. 허생은 ‘사간이시오(辭簡而視傲)’하고 ‘용무작색(容無?色)’하다.- 1만 냥의 거금을 조건 없이 빌려주는 이유 
7. 변부자는 지인지감(知人之鑑)의 통 큰 결단력을 과시한다. 
8. 허생과 변부자는 연리지(連理枝)와 같은 상생(相生)의 거래를 한다.
9. 당시의 경제 구조 
10. 허생이 펼칠 사업 - ‘소소시(所小試)’ 
11. 허생은 빌린 돈 1만 냥을 갖고 곧장 사업 현장인 안성(安城)으로 간다. 
12. 허생의 첫 번째 사업 - 안성에서 각종 과일을 사재기한다. 
13. 허생의 두 번째 사업 - 제주(濟州)에서 모든 말총을 매점매석한다. 
14. 허생은 왜 "과일"과 "말총"만을 매점매석하였을까? 
15. 허생의 세 번째 사업 - 도적들을 데리고 무인도(無人島)를 개발한다. 
16. 허생은 무인도를 곡물의 생산 기지로 만든다. 그리고 잉여생산물로 상업자본을 만든다. 
17. 허생의 네 번째 사업 - 생산한 곡물을 일본 장기(長崎)에 판다. 곧 해외 수출 사업으로 은(銀) 100만 냥을 번다. 
18. 허생은 변부자보다도 더 큰 부자가 된다. 
19. 허생은 무인도를 떠난다. 
20. 허생의 다섯 번째 사업 - 온 나라 백성을 구제한다. 
21. 허생은 변부자로부터 빌린 돈을 갚는다. 
22. 허생은 다시금 초라한 선비의 옛 모습으로 되돌아간다. 
23. 전반부(前半部)의 축재에 대한 이야기 
24. 허생의 사업가 정신과 사회 개혁 정신 
25. 후반부(後半部)에 대한 이야기 
26. 허생의 첫 번째 계책 - 인물 등용에 관한 문제 
27. 허생의 두 번째 계책 - 명(明)의 망명자에 대한 처우 문제 
28. 허생의 세 번째 계책 - 성공적인 북벌(北伐)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 
29. 허생의 격분과 통탄 
30. 허생은 종적을 감춘다 - 대단원(大團圓) [Climax] 

마무리 하는 말 : 허생과 변부자에게 드리는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