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일반자료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 고종 즉위부터 임시정부 수립까지 / 김태웅,김대호 지음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 고종 즉위부터 임시정부 수립까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 고종 즉위부터 임시정부 수립까지 / 김태웅,김대호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Arte(아르테), 2019
  • ·형태사항 595 p. :삽화, 초상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585-590)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0979928  03910: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59  듀이십진분류법-> 951.902  
  • ·주제명 한국 근대사[韓國近代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태웅,김대호 지음 2019 SE0000451682 911.059-19-1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태웅,김대호 지음 2019 SE0000451683 911.059-19-1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1장 흥선대원군, 개혁가인가 망국의 원흉인가? 

왕의 아버지는 어떻게 적폐를 청산하려 했을까? 18
경복궁 중건은 대원군의 오판이었을까? 20 
대 원군은 왜 통상 개방을 거부했을까? 23 
두 차례의 양요는 조선에 무엇을 남겼을까? 27
흥선대원군 에 대한 평가는 왜 그렇게 나빠진 것일까? 30

2장 조선은 왜 닫힌 빗장을 열었을까?
일본은 왜 조선 정벌을 주장했을까? 38
강화도조약의 원인이 운요호사건뿐이었을까? 41
조선은 정말 ‘조약’을 몰랐을까? 44
강화도조약, 무엇이 문제였을까? 47
조선은 서구 열강 중 왜 미국과 가장 먼저 수교를 맺었을까? 50

3장 김옥균, 혁명가인가 반역자인가? 
개화파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58
급진 개화파가 정변을 준비한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60
갑신정변은 왜 삼일천하로 끝났을까? 63
김옥균은 왜 상하이에서 암살당했을까? 67
김옥균에 대한 평가가 극단적으로 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70

4장 조선의 시장 개방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까?
‘왜놈은 진고개, 장꼴라는 북창동’ 이 말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78
한성 개방은 어떤 문제를 가져왔을까? 80
일본 상인과 청 상인 사이에서 조선 상인들은 어떻게 대응했을까? 83
당대의 최고 히트 상품은 무엇이었을까? 87
방곡령은 왜 일어날 수밖에 없었을까? 90

5장 운동인가, 혁명인가, 전쟁인가?
그들은 왜 따로 집회를 열었을까? 98
민란은 어떻게 전쟁으로 변할 수 있었을까? 100
농민군의 「폐정 개혁안」은 사실일까? 104
농민군이 우금치에서 패배한 까닭은 무엇일까? 107
1894년에 일어난 이 사건에 어떤 이름을 붙여야 할까? 112

6장 청일전쟁, 누구를 위한 전쟁이었는가? 
일본은 어떻게 전쟁의 주도권을 쥐게 되었을까? 120
그 전쟁은 과연 조선을 위한 것이었을까? 123
조선의 ‘독립’은 어떤 의미였을까? 126
청일전쟁에서 패배한 청에 어떤 시련이 기다리고 있었을까? 129
청일전쟁의 승리는 일본에 어떤 부작용을 남겼을까? 132

7장 갑오개혁은 우리 삶을 어떻게 바꾸었을까? 
갑오개혁은 왜 여러 개 이름을 가지게 되었을까? 140
갑오개혁은 과연 자율적이었을까? 143
국가 대개혁 구상을 통해 무엇을 바꾸려고 했을까? 146
조선 사회는 왜 단발령에 그토록 강력하게 반발했을까? 150
갑오개혁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할까? 154

8장 명성왕후는 왜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했는가? 
우리가 ‘잃어버린 얼굴’은 무엇일까? 162
을미사변 당일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166
왜 왕비를 노렸을까? 169
그 시절에 왕비는 어떻게 평가되었을까? 172
우리는 명성왕후를 어떻게 기억해야 할까? 175

9장 아관파천,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가? 
을미사변 직후의 상황은 어떠했을까? 184
아관파천은 어떻게 가능했을까? 186
아관파천 이후 조선 내부의 권력은 어떻게 변했을까? 190
러시아 공사관에서 조선이 치러야 했던 대가는 무엇이었을까? 193
러·일이 맺은 세 개의 의정서는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까? 196

10장 대한제국은 어떤 나라를 꿈꾸었는가?
고종은 왜 환궁을 결정하게 되었을까? 204
대한제국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206
광무개혁은 무엇을 추구했을까? 210
서구 문물은 우리의 의식주를 어떻게 바꿔 놓았을까? 214
대한제국은 왜 전제군주제를 지향했을까? 219

11장 만민공동회는 왜 ‘원조 촛불’이라고 불릴까?
서재필은 어떻게 독립협회를 세울 수 있었을까? 228
『독립신문』이 큰 인기를 얻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230
독립협회와 광무정권은 어떤 관계였을까? 233
만민공동회는 어떤 가능성을 보여 주었을까? 236
광무정권은 왜 만민공동회를 탄압했을까? 239

12장 고종, 현명한 군주인가 어리석은 군주인가? 
고종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일까? 248
고종은 왜 ‘암군’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을까? 250
고종을 ‘현군’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일까? 253
‘광무개혁’ 논쟁은 왜 그토록 주목받았을까? 255
대한제국 평가에서 남은 과제는 무엇일까? 227

13장 독도와 간도, 왜 ‘문제’가 되었을까? 
‘간도 문제’가 일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266
대한제국은 어떻게 간도의 소유권을 다시 주장할 수 있었을까? 268
독도는 왜 우리 땅일까? 271
독도는 왜 분쟁의 대상이 되었을까? 275
지금 우리에게 간도와 독도는 어떤 의미일까? 277

14장 대한제국은 왜 중립국이 되려고 했는가? 
조선에서 ‘중립’은 언제 등장했을까? 286
대한제국의 외교정책은 왜 중립화로 귀결되었을까? 288
러·일은 대한제국의 중립화를 왜 거부했을까? 291
대한제국은 어떻게 국외중립 선언을 할 수 있었을까? 294
대한제국의 중립화 실패는 무엇을 남겼을까? 297

15장 러일전쟁이 대한제국에 남긴 것은 무엇인가?
러시아는 왜 패배한 전투를 기념했을까? 304
일본은 왜 그토록 뤼순 점령에 집착했을까? 306
일본 해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309
대한제국은 국제 질서에서 어떻게 고립되었을까? 312
러일전쟁이 낳은 결과 이면엔 무엇이 있을까? 314

16장 을사늑약 이후 주권은 어떻게 상실되어 갔는가?
‘시정 개선’이 왜 비극의 시작이었을까? 322
을사늑약은 무효일까? 325
통감부 시기, 대한제국은 누가 통치했을까? 328
고종황제의 양위식에 왜 환관 두 사람만 서 있었을까? 331
대한제국의 주권은 어떻게 해체된 것일까? 333

17장 대한제국의 언론은 국망의 위기와 어떻게 싸웠을까?
「시일야방성대곡」은 왜 유명해졌을까? 342
혈죽은 어떻게 '신화'가 되었을까? 345
『대한매일신보』는 왜 국채보상운동에 주목했을까? 347
『대한매일신보』는 왜 국채보상운동으로 위기에 빠졌을까? 350
대한제국의 대표 신문은 어떻게 쇠락했나? 352

18장 ‘애국계몽’에 담긴 의미가 왜 서로 달랐을까?
을사늑약 이후에 수많은 정치단체와 학교가 만들어진 까닭은 무엇일까? 360
애국계몽운동은 얼마나 ‘애국적’이었을까? 363
신민회는 왜 아직까지도 미스터리로 남아 있을까? 365
신민회는 공식적으로 공화정을 주장했을까? 368
105인 사건은 어떻게 신민회의 손발을 묶었을까? 370

19장 의병 전쟁은 어떤 유산을 남겼을까? 
의병장 유인석은 왜 큰 공을 세운 부하를 죽였을까? 378
최익현이 스스로 의병을 해산한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380
군대 해산 이후 의병 전쟁은 어떻게 변했을까? 383
일제의 의병 탄압을 ‘제노사이드’라고 부르는 까닭은 무엇일까? 386
당대의 한국인들은 의병 전쟁에 어떻게 대응했을까? 388

20장 고종은 왜 헤이그 특사라는 승부수를 던졌을까?
고종은 왜 만국평화회의에 주목했을까? 396
헤이그 특사는 국제사회의 외면을 어떻게 극복하려 했을까? 398
우리는 왜 헤이그 특사 3인을 기억해야 할까? 401
고종은 강제 퇴위 후에 국권 수호를 위해 어떤 활동을 했을까? 404
고종은 왜 러시아 망명을 준비했을까? 406

21장 안중근은 마지막 순간에 왜 ‘동양의 평화’를 강조했을까?
안중근은 왜 하얼빈으로 갔을까? 414
왜 1910년대 전후를 ‘암살의 시대 ’라고 할까? 416
안중근을 테러리스트라고 할 수 있을까? 419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은 이토의 동양 평화론과 무엇이 달랐을까? 422
안중근은 왜 한·중·일 모두로부터 존경받았을까? 426

22장 경술국치 당일은 왜 조용했을까? 
안중근의 의거는 왜 일진회가 주장한 합방의 이유가 되었을까? 434
일진회는 어떤 조직일까? 436
일진회가 나라를 판 대가로 받은 것은 무엇이었을까? 438
강제 병합 당시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440
한일 병합을 가리키는 용어는 왜 그렇게 많을까? 443

23장 그때 우리는 조선인이었나, 일본인이었나? 
왜 헌병이 경찰 업무를 담당했을까? 452
조선 사람과 명태는 두들겨 패야 한다고? 455
일제는 식민지 조선을 어떤 방식으로 통치하려고 했을까? 457
‘조선인’들은 왜 소학교가 아니라 보통학교에 다녀야 했을까? 460
일제는 ‘이등 국민’을 어떻게 차별했을까? 463

24장 그것은 과연 개발이었는가, 수탈이었는가? 
일제는 왜 ‘조선 엑스포’를 개최했을까? 472
식민지 조선은 어떻게 개발되고 있었을까? 474
토지조사사업은 왜 논란이 되었을까? 477
일제가 한국의 산림에 눈독을 들였던 까닭은 무엇일까? 481
일제는 한국의 산업을 어떻게 재편하려고 했을까? 483

25장 1910년대에 왜 소설과 영화가 유행했을까?
『매일신보』는 왜 소설을 신문 1면에 게재했을까? 492
소설은 어떻게 ‘대설’을 대체할 수 있었을까? 494
전통 공연물은 왜 신파극에 밀리게 되었을까? 497
왜 변사가 극장의 스타로 부상했을까? 500
1910년대 극장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503

26장 식민지 조선에서 우리는 어떻게 싸웠을까? 
일제강점기의 의병은 왜 한국 황실을 포기하지 못했을까? 510
대한제국 황실은 어떻게 기울었을까? 512
무단통치기 국내 독립운동을 대표하는 대한광복회는 어떤 단체일까? 514
대한광복회의 행동 강령은 왜 비밀·폭동·암살·명령이었을까? 517
새로운 독립운동은 어떻게 준비되고 있었을까? 519

27장 그들은 왜 독립의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을까?
서간도 독립운동 기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528
이회영과 이상룡은 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대명사로 거론될까? 531
북간도는 어떻게 독립 정신의 중심지가 되었을까? 534
러시아 연해주에서의 독립운동은 왜 외면받았을까? 557
안창호·이승만·박용만은 왜 다른 길을 갔을까? 560

28장 무엇이 3·1운동을 ‘세계적인 경이’로 만들었는가? 
민족자결주의는 해외 독립운동 세력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548
왜 종교인들이 3·1운동을 대표하게 되었을까? 551
3·1운동 당일에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554
이천만 동포의 함성은 어떻게 한반도를 울렸을까? 557
일제는 3·1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어떤 만행을 저질렀을까? 560

29장 대한민국은 언제, 어떻게 탄생했는가?
3·1운동을 왜 ‘혁명’이라고 불렀을까? 568
왜 그렇게 많은 임시정부가 만들어졌을까? 571
「대한민국 임시 헌장」이 꿈꾼 국가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574
임시정부 여러 개는 어떻게 하나로 통합되었을까? 577
대한민국은 왜 1919년에 건국되었을까? 580

참고 문헌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