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조선왕실의 음악문화 / 송지원 지음
조선왕실의 음악문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조선왕실의 음악문화 / 송지원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세창출판사, 2020
  • ·형태사항 383 p. :삽화 ;22 cm
  • ·총서사항 (조선왕실의 의례와 문화 ;11)
  • ·주기사항 권말부록: 조선시대 주요 의례를 위한 음악의 악기 편성 일람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2011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학술연구지원사업비)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AKS-2011-ABB-3101)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4119536  04900: \2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5  듀이십진분류법-> 951.902  
  • ·주제명 조선 시대[朝鮮時代]음악(예술)[音樂]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송지원 지음 2020 SE0000559022 911.05-20-56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송지원 지음 2020 SE0000559023 911.05-20-56=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5

제1장 조선왕실의 유교정치와 음악
1 조선 초 오례(五禮)의 정립과 왕실음악 -19
1) 선초 오례의 정립 -19
2) 건국 초반 왕실음악의 정비 양상 -21
3) 오례의 정착과 예악 -31
2 오례에서 용악(用樂)의 양상 -39
1) 보본반시(報本反始)의 길례음악 -39
2) 여민동락(與民同樂)의 연향음악 -42
3) 균일절제(均一節制)의 군례음악 -48
4) 진이부작(陳而不作)의 흉례음악 -61
3 왕실음악의 유교적 특징 -70
1) 음의 높이에 부여된 유교적 질서 -70
2) 악대와 일무를 통해 구현된 삼재사상 -74
3) 제례악기에 드러나는 유교적 상징 -83

제2장 조선왕실의 공연과 악기 제작
1 조선왕실의 춤과 음악 -91
1) 조선왕실에서 연행된 춤과 음악 -91
2) 『악학궤범』에 보이는 정재와 음악 -97
3) 『정재무도홀기』를 통해 본 정재와 음악 -116
2 조선왕실의 공연 공간과 음악 -127
1) 전과 당에서 행해지는 의례 -128
2) 묘와 단의 의례 -136
3) 문의 의례 -145
3 왕실악기의 제작 -151
1) 왕실악기의 제작 사유 -151
2) 연향과 제례를 위한 악기 제작 -153
3) 궁궐의 화재와 악기 제작 -155
4) 새로운 의례를 위한 악기 제작 -157
4 왕실악기의 제작 기록 -159
1) 인조 대의 『제기악기도감의궤』 -162
2) 영조 대의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 -169
3) 정조 대의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 -181
4) 순조 대의 『사직악기조성청의궤』-190

제3장 조선왕실의 예악서 편찬
1 조선왕실의 악학: 음악지식의 집성 -197
1) 『동국문헌비고』 「악고」 편찬 경위와 기술 방식 -198
2) 「악고」의 구성과 음악 분류 방식 -204
3) 「악고」와 『악학궤범』의 음악지식 집성 방식 -214
4) 편찬자 서명응의 시각 -217
2 악서 제작의 실상 -226
1) 왕실행사의 기록, 오례서 -226
2) 왕실행사와 의궤 -230
3) 왕실의례의 노랫말 모음, 악장모음집 -232
4) 악학 부흥을 위한 악서 -237

제4장 조선왕실의 음악 담론
1 예와 악의 담론 -247
2 아악과 속악 논의 -259
1) 세종의 아악 정비 -260
2) 영조 대 아악 부흥 노력 -263
3) 속악을 향한 세종의 노력 -268
3 악장 논의 -271

제5장 조선왕실의 음악기관
1 장악원 이전의 음악기관 -287
1) 아악서와 전악서 -287
2) 장악서와 악학도감 -291
2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총본산, 장악원 -295
1) 장악원 소속 음악인의 연습과 시험 -300
2) 궁중음악 연주자들, 악공과 악생 -315
3) 궁중의 춤과 반주음악 담당자들, 무동과 여기, 관현맹인 -318
4) 장악원 제조와 전악의 임무 -323
5) 장악원 관리와 음악인 -334

부록 조선시대 주요 의례를 위한 음악의 악기 편성 일람 -337

참고문헌 -364

찾아보기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