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_ 마이너리티 아티스트란 누구인가 -8
1장 눈물 닦아 주러, 같이 울러 갑니다 - 라이브 퍼포먼스 청년 기획자 백정미 -19
ㆍ 청년 작곡가로서의 고민들
ㆍ 사회참여-함께한다는 것, 당연하지 않나요?
ㆍ 라이브 퍼포먼스와 예술행동
ㆍ 가난한 청년 예술가의 예술-삶
ㆍ 달라진 세상에 적응하기
ㆍ 다시 작곡가로서의 여정
2장 내 방식대로 재미있게 살아요 - 모던 가야그머 정민아 -63
ㆍ 가야금 연주자이자 싱어송라이터
ㆍ 세월호 사건과 일상의 변화
ㆍ 국악계의 구별 짓기와 소수자의 삶
ㆍ 홍대 인디 신에서의 생존기
ㆍ 생계형 노동과 마이너리티 아티스트의 생성
ㆍ 그녀의 예술과 삶은 진행형
3장 재난 현장에서 예술을 발견합니다 - 조각가 나규환 -101
ㆍ 파견예술이란 무엇인가
ㆍ 파견예술가가 처음 달려간 곳, 대추리
ㆍ 참사 현장을 예술의 장으로, 용산참사
ㆍ 파견예술의 장, 환경에서 노동까지
ㆍ 삶을 성찰하는 장소, 세월호 파견예술
ㆍ 실천적 예술운동, 광화문 예술인 캠핑촌
ㆍ 예술은 곧 삶에 대한 고민
4장 나는 거리에서 캐리커처 그려 주는 남자 - 시사만화가 이동수 -145
ㆍ 거리의 시사만화가
ㆍ 그는 어떻게 시사만화가가 되었나
ㆍ 아웃사이더로 만화운동에 참여하다
ㆍ 현장에서 만화를 그리다
ㆍ 더 작고 낮은 곳에서 캐리커처를 그린다
ㆍ 먹고살기 힘들어진 현실
ㆍ 마이너리티 아티스트란 누구인가
5장 미술계의 세대교체를 돕는 성소수자 - 미술평론가 임근준 -181
ㆍ 미술계의 세대교체, 왜 필요한가
ㆍ 대안 미술공간과 공공 미술의 달라진 생태계
ㆍ 성소수자로 커밍아웃하기
ㆍ 미술활동과 성소수자 운동
ㆍ 예술인 복지를 바라보는 다른 생각
ㆍ 세대교체와 성소수자적 상상력
6장 마이너리티를 위한 다큐멘터리 연출의 힘 - 다큐멘터리 감독 김일란 -217
ㆍ 내가 아는 김일란 감독
ㆍ 주목받는 다큐멘터리 감독
ㆍ 할리우드와 홍콩 누아르 영화에 미치다
ㆍ 문화연구에 관심이 많았던 영화학도
ㆍ 청소년 하위문화 현장 연구에서 기본을 배우다
ㆍ 다큐멘터리로 인권운동을 하는 ‘연분홍치마’
ㆍ 트랜스젠더, 성소수자들의 이야기
ㆍ 〈두 개의 문〉을 만들게 된 사연
ㆍ 〈공동정범〉이 말하고 싶은 것
ㆍ 소수자를 위한 영화 만들기
7장 공사다망한 독립 프로듀서의 삶 - 프로듀서 김미소 -265
ㆍ 독립 프로듀서의 삶과 위상
ㆍ 국악, 혹은 국악전공자라는 이름의 불편한 진실
ㆍ 새로운 세대가 생각하는 전통, 그리고 국악 프로듀싱의 세계
ㆍ 도전하는 삶: ‘첩첩산중’에서 ‘DMZ 뮤직페스티벌’까지
ㆍ 신선한 프로젝트 〈두 사랑〉
ㆍ 일의 산더미, 그러나 당당하게: 여성 독립 프로듀서의 길
에필로그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