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길 위의 핏줄들 : 하병언 시집 / 지은이 : 하병연
길 위의 핏줄들 : 하병언 시집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길 위의 핏줄들 : 하병언 시집 / 지은이 : 하병연
  • ·발행사항 대전 : 애지, 2020
  • ·형태사항 128 p. ;20 cm
  • ·총서사항 (애지시선 ;090)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2219914  03810: \1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1.7  듀이십진분류법-> 895.715  
  • ·주제명 한국 현대시[韓國現代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하병연 2020 SE0000548791 811.7-20-740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진달래꽃 
 서시 13 / 산나물 14 / 꼬무신과 핵조 15 / 진달래꽃 16 / 초롱불 17 / 울 엄마 무명 저고리에 18 / 외할아버지 결혼 조건 19 / 허기진 젊은 부부가 옹그리고 살았을 1960년대 20 / 아비 유산 21 / 징조 할머니 22 / 옥종 장 23 / 새마을 운동 24 / 알사탕 27 / 기억나는 저녁 28 / 비밀 하나를 30 / 고구마 국밥 32 / 아버지 병이 들어 34

 제2부 그 반지를 할머니가 아버지 손에 꼬옥 끼워주셨다고 어머니는 말씀하셨다 
 풀과 어머니의 끝없는 싸움에서 37 / 쑥국 38 / 산 밑 할매 굿이 40 / 누에 41 / 국시봉 고오메 밭 42 / 아버지는 숲촌 아재를 불러라고 했다 44 / 담배 45 / 왕겨숯을 만들다 46 / 어머니의 흰죽 48 / 그 반지를 할머니가 아버지 손에 꼬옥 끼워주셨다고 어머니는 말씀하셨다 50 / 모자母子가 말없이 풋사과 먹는 밤 52 / 옴마 찾아 삼만리 54 / 딸기 농사 55 / 술도 못하는 아버지 술에 취해 56 / 아버지의 방천 58 / 배추 사세요 60

 제3부 타샤와 어머니는 
 똑 뿔라지게 63 / 어머니 사변 이야기라는 64 / 어머니와 뱀 66 / 큰 소리 뻥뻥 68 / 뜬 모 69 / 비 설거지 70 / 잔디 농사 71 / 한톨의 비료 72 / 고추장 닭볶음 73 / 타샤와 어머니는 74 / 햇빛 따신 어느 오후, 이유와 까닭 있는 사과나무 싸움 75 / 길 위의 핏줄들 76 / 동치미 78 / 고마우이, 하박사 80 / 장섭이 81 / 아버지 남에게 농사 내어주고 82 / 마지막 제사 84 / 산청양반, 돌아가시다 85 / 은행나무 86 / 고랑 88 / 곡哭 소리가 내 몸 안에서 나오지 않았다 90

 제4부 어머니 평생 소원 
 어머니 평생 소원 93 / 오늘도 어무이는 다 큰 나에게 자꾸 갤추려고 드신다 94 / 감자 96 / 마늘 98 / 흑마늘 99 / 임이 심은 매화나무 100 / 논 -12월 102 / 어머니는 항상 이렇게 말씀하셨다 104 / 달리는 거리 105 / 담배 한 갑 106 / 참교육 108 / 꽃 110 / 거북손 112 / 내 안의 바다 114 / 새마을 운동 기념비 세우고 115 / 울진 소광리 금강숲길 116 / 포구나무 118 / 화태도에 가서 122 / 이 저녁 음악 124 / 전어 126 / 횡간도 후박나무를 바라보다 127 / 차를 마신다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