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제국의 브로커들 : 일제강점기의 일본 정착민 식민주의 1876~1945 / 우치다 준 지음 ;한승동 옮김
제국의 브로커들 : 일제강점기의 일본 정착민 식민주의 1876~1945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제국의 브로커들 : 일제강점기의 일본 정착민 식민주의 1876~1945 / 우치다 준 지음 ;한승동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길, 2020
  • ·형태사항 632 p. :삽화, 지도, 초상 ;24 cm
  • ·총서사항 (역사도서관 ;022)
  • ·주기사항 원표제:Brokers of empire :Japanese settler colonialism in Korea, 1876-1945
    원저자명: 内田准
    권말부록: 1910 ~ 30년 기간에 경성에 거주한 일본인 정착민 지도자들 ; 구술자료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영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4452257  93910: \3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6  듀이십진분류법-> 951.903  
  • ·주제명 한국 근대사[韓國近代史]일제 강점기[日帝强占期]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우치다 준 지음 ;한승동 옮김 2020 SE0000538476 911.06-20-32 인문예술자료실(1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우치다 준 지음 ;한승동 옮김 2020 SE0000538477 911.06-20-3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우치다 준 지음 ;한승동 옮김 2020 SE0000544904 911.06-20-32=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7 
감사의 말-11 
서문-23 

제1부 출현 

제1장 정착민들의 세계-67 
개척자로서의 이주민-68 
제국주의의 선봉에 선 상인들-73 
중국 제국주의와 싸우다-80 
‘현지인들’의 정치적 협력-84 
철도건설 로비-90 
일본의 ‘문명화 사명’-93 
실패한 맬서스주의의 꿈-98 
정착민 사회의 성장-105 
경성을 정착민 도시로 만들다-113 
정착민들의 일상과 문화-120 
접촉의 두려움-135 

제2장 정착민들과 국가: 불안한 동반자들-147 
이토 히로부미의 ‘자치’정책에 대한 정착민들의 공격-150 
애국계몽운동에 참여한 일본인 고문들-156 
정착민들의 조선합병 요구-166 
동화정책-171 
제국의 확장구상을 둘러싼 충돌-179 
정착민 자치옹호-188 
동화에 대한 불안-194 
결론-200 

제2부 행동 

제3장 화합의 제국건설-207 
사이토의 문화정치-211 
정착민들의 대응-216 
고문과 정보원 역할을 한 정착민들-220 
친일부역자들 양성-226 
동화 캠페인: 동민회(同民會)-235 
내선융화의 풀뿌리 요원들-250 
융화운동의 한계-256 
결론-260 

제4장 조선과 조성인에 대한 담론-263 
식민지 아카이브의 출현-265 
문화적 제국주의 대(對) 문화적 민족주의-287 
식민지 백성의 목소리를 들어라-293 
변화하는 조선 민족주의 평가-302 
결론-311 

제5장 조선의 산업화-315 
식민지 산업의 불편한 동반자들-317 
조선의 산업을 위한 로비-331 
조선의 경제적 민족주의-347 
결론-356 

제6장 정치적 목소리를 찾아서-361 
정착민 정치권력의 한계-363 
더 큰 지방자치를 위한 로비-372 
참정권과 자치 사이-385 
접근전-394 
본국의 조선 자치옹호-405 
결론-412 

제3부 국가기관들 

제7장 만주(滿洲)의 충격효과-419 
만주 열기의 조성-422 
조선인의 국민자격 요구와 일본인 정착민들의 반응-433 
만주 시장의 장악-438 
전쟁동원 준비, 교화(敎化)운동-444 
일상생활의 개선과 여성설득-452 
청소년 선도-461 
종교적 수양-468 
결론-476 

제8장 총력전 체제 아래의 국민과 신민-479 
국민정신총동원-482 
내선일체의 이데올로그: 녹기연맹-489 
국민정신총동원운동 평가-501 
일본 국민이 된 조선인들-507 
결론-524 

결론-531 

부록 
부록 1 1910~30년 기간에 경성(京城)에 거주한 일본인 정착민 지도자들-544 
부록 2 구술자료-549 

옮긴이의 말-555 
참고문헌-575 
찾아보기-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