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문화계발이론의 개념, 비판, 확장
1. 문화계발 효과에 의한 국가 이미지 형성 -21
2. 소셜미디어 시대 문화계발효과의 변곡(變曲)과 반향(反響) -26
1) 전통적 문화계발이론의 발전과 비판 -26
2) 전통적 문화계발이론의 확장: 공명효과의 등장 -30
3) 문화계발이론의 비판과 '변곡(變曲;inflection)'-32
4) 문화계발이론의 비판과 '반향(反響; reverbation)'-33
대만인의 한국 이미지 형성과정에 관한 논의
국가 이미지 형성과정에 관한 질적인 접근
연구문제
분석방법
1. 현상학적 연구방법 -65
1) 현상학의 특징 -65
2) 무스타카스(Moustakas)의 현상학 방법론 -67
3) 무스타카스(Moustakas)의 현상학 방법론의 적용 -69
2. 인터뷰 대상자 -70
3. 인터뷰 방법 및 기록 -76
4. 인터뷰 범위 및 내용 -79
5. 자료의 분석 및 절차 -80
6. 연구의 엄격성 확보 -83
7. 연구자의 선경험 및 선이해 -85
의미 있는 진술의 목록화와 주제의 결합
한국에 관한 경험의 조직적 기술
1. 제한된 미디어 정보에 근거한 피상적 이해(전통적 문화계발 효과의 발현) -100
1) 한국에 관한 이해 없음 -101
2) 한국에 관한 표면적 이해 -104
3) 한국에 관한 주변 사람들의 부정적 이해 -104
4) 한국에 관한 대만 미디어의 재현 -105
5) 한국 대중문화에 재현된 한국의 이미지 -107
2. 문화적 경험 확대에 따른 이해도 증진(대만 미디어 문화계발 효과의 변곡) -109
1) 한국에 관한 관심 유발의 계기 -110
2) 능동적 한국 정보의 취득 -112
3. 한국 방문 초기 : 양면적 이미지의 형성(한국 대중문화 문화계발 효과의 변곡) -114
4. 한국 생활 적응기: 가상과 현실, 공명과 변곡의 교차 -118
1) 한국의 불평등한 사회상과 사회적 불합리성 -120
2) 집단성, 배타성, 그리고 인간관계 진입장벽 -132
3) 대만과의 문화적 차이 -141
4) 한국인의 경쟁의식 -147
5) 경제활동의 명암 -152
6) 시민들의 기초소양 부족 -155
7) 생활의 편리성 -159
5. 한국 생활 안정기: 변화, 그리고 동화 -162
6. 한국 생활 기록 동기 -170
1) SNS 특성별 차별적 한국 생활 공유 형태 -171
2) SNS를 통한 한국 생활 공유 동기 -172
7. 삶의 일부분으로서 한국 생활 공유 -175
1) 일상에 관한 기록 -176
2) 관심사에 관한 기록 -177
8. 의도적, 선택적 한국 생활 공유 -179
1) 한국 정보 공유를 위한 기록 -179
2) 한국에 대한 부정적 정보 공유 회피 -180
9. 소중(小衆)에 관한 영향력 행사 -183
1) 한국 생활 포스팅에 관한 제한적인 도달 -183
2) 혐한(嫌韓) 인식에 관한 차별적 대응 방식 -187
10. 한국 이미지의 파생 공명, 파생 변곡 유발 -190
1) 한국 생활 호기심 유발 -190
2) 한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 -194
3) 한국 이미지에 관한 공명효과 유발 -196
4) 한국인과 교류를 통한 한국 이미지 변화 -198
한국에 관한 경험의 구조적 기술
1. 한국 방문 이전 나의 한국 이미지 -204
2. 한국 방문 이후 나의 한국 이미지 변화과정 -207
3. SNS를 통한 나의 한국 생활 공유(반향) 과정 -211
4. 나의 한국 생활 공유(반향)에 따른 대만 소중의 한국 이미지 재형성 -214
한국에 관한 경험의 통합적 기술 :
재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에 관한 4가지 흐름
분석결과의 요약
1. 전통적 문화계발 효과의 검증결과 요약 -231
2. 문화계발 효과의 공명과 변곡 과정 추적 결과 요약 -234
3. 문화계발 효과의 반향 경험 추적 결과 요약 -237
4. 반향의 효과, 문화계발 효과의 파생 변곡 가능성 추적 결과 요약 -239
5. 분석결과의 도식적 정리 -241
시사점
참고문헌 -265
부록1. 103개의 의미구성 문장 -276
표 차례
<표 1> 인터뷰 대상자 기본 정보 -72
<표 2> 인터뷰의 진행 및 기록 -77
<표 3> 인터뷰 범위 및 내용 -80
<표 4> 의미 있는 진술의 목록화 -99
<표 5> 의미들의 주제 범주화 -203
그림 차례
<그림 1> '한국 거주 대만인의 한국 이미지 형성과정' 연구 체계도 -61
<그림 2> 무스타카스(1994)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분석 단계 요약 -68
<그림 3> 분석결과의 도식적 정리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