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운암 김성숙 : 의열단에서 임시정부·민주화운동까지 / 저자 : 김삼웅
운암 김성숙 : 의열단에서 임시정부·민주화운동까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운암 김성숙 : 의열단에서 임시정부·민주화운동까지 / 저자 : 김삼웅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20
  • ·형태사항 271 p. :천연색삽화, 계보, 초상 ;20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운암 김성숙 연보"와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683677  93990: \1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9  듀이십진분류법-> 320.092  
  • ·주제명 항일 독립 운동[抗日獨立運動]독립 운동가[獨立運動家]사상가[思想家]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김삼웅 2020 SE0000512109 340.99-20-24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김삼웅 2020 SE0000512110 340.99-20-24=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의열단→임정국무위원→신민당지도위원까지의 생애 -17

제1장 출생과 성장기 -25
평북 철산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25
용문사에 이어 봉선사의 승려생활 -33

제2장 승복입고 항일운동 -39
봉선사에서 국치 겪으며 민족의식 길러 -39
독립선언식 참여하고 별도 성명서 제작발표 -43
출옥 뒤 각종 사회운동단체 활동 -47

제3장 베이징 민국대학 시절의 학업과 항일운동 -53
독립운동 위해 중국망명, 민국대학 입학 -53
‘황야’ ‘혁명’ 등 잡지만들며 일제와 싸워 -60
‘반역사’ 조직 일제에 ‘반역’ -64
공산주의조직 ‘창일당’ 조직 -68

제4장 광저우에서 의열단 활동ㆍ-72
‘미츠야협정’으로 베이징 떠나 -72
의열단 20개조 강령작성 -76
중산대학 편입, 항일운동 전개 -80
우한으로 이동, 광동꼬뮨 참여 -84

제5장 중국여성 두쥔훼이와 사랑과 결혼 -90
엘리트 중국여성과 사랑에 빠져 -90
혁명가로 성장한 두쥔훼이 -94
부부혁명가 김성숙과 두쥔훼이 -96
광저우봉기에 참가하고 살아남아 -100

제6장 상하이와 광저우 오가며 활동 -105
상하이로 옮겨 문필활동 -105
노신 등 진보문인들과 항일운동 -109

제7장 중일전쟁의 격랑 속에서 -117
조선민족해방동맹 결성하다 -117
조선의용대 창설에 참여 -122
의용대 창설의 이모저모 -128
‘조선의용대통신’에 많은 글 기고 -132

제8장 대한민국임시정부 시절 -135
조선의용대 활동 접고 임시정부 합류 -135
광복군 김준엽이 만난 김성숙 -141
의정원에서 국무위원으로 뽑혀 -144
이승만의 ‘훼방외교’ 성토 -148
전쟁말기 ‘중한문화협회’ 등 깊이 관여 -152

제9장 일제의 항복과 환국전후 -156
해방맞았으나 가족과 생이별 -156
환국에 앞서 ‘임정 약법3장’ 제시 -161
고국의 흙 한 움큼 손에 쥐고 흙냄새를 -165
임정요인들의 ‘민주의원’ 참여 반대 -170
미군정에서 6개월 투옥당해 -174
‘민전’ 참여했다가 탈퇴 -176
근민당 참여, 여운형 암살로 당 해체 -180
정치공작 모르는 솔직인물 - 김오성의 평가 -184

제10장 이승만 폭정에 맞서다ㆍ -187
제2대 총선출마 낙선, 부산에서 투옥 -187
이승만 국가안보 망치고 권력욕만 -192
발췌개헌에 이어 사사오입 개헌 -195
진보세력의 분열 민주혁신당에 -200
날조된 사건으로 6개월 투옥, 무죄판결 -204
아들 셋 찾아왔으나 당국에서 추방 -208

제11장 4월혁명 전후 -213
4월혁명 맞아 사회대중당 참여 -213
‘민자통’ 의장단으로 민족통일운동 이끌어 -220

제12장 5·16 쿠데타와 군정시기 -224
5·16 쿠데타로 또 투옥 -224
‘정정법’에 묶이고 보수야당 참여 -228

제13장 ‘김성숙의 혁명일기’ -233
‘혁명일기’에 어떤 사연 담겼나 -233
쌀은 됫박으로 사다먹은 처지에 -237
50년 동안 안정된 생활 못해봐 -239
우리는 아직 독립하지 못한 나라 -242

제14장 병고와 좌절 속에서 -245
신민당 지도위원으로 위촉 -245
71살로 서거, 뒤늦게 건국공로훈장 추서 -251


연보 -259
가계도 -264
참고문헌 -265
찾아보기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