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AI 시대 기초 한문공부 : 생성문법으로 한문 해석하기 / 김종호 지음
AI 시대 기초 한문공부 : 생성문법으로 한문 해석하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AI 시대 기초 한문공부 : 생성문법으로 한문 해석하기 / 김종호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한티미디어, 2020
  • ·형태사항 v, 200 p.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98-200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4214015  93720: \17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727.4  듀이십진분류법-> 495.18  
  • ·주제명 한문 평석[漢文評釋]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종호 지음 2020 SE0000506428 727.4-20-1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종호 지음 2020 SE0000506429 727.4-20-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1

Ⅰ장 해석공식 세우기 -1
1. 문장성분 -2
1.1 필수성분 -2
1.1.1 술어(V-v) -2
1.1.2 주어(S) -4
1.2 보충성분 -5
1.2.1 목적어(O)-5
1.2.2 보어(C) -6
1.2.3 부가어(Adj) -7

2. 문장유형 -8
2.1 'SV'문형 -8
2.2 'SVO' 문형 -8
2.3 'SVC' 문형 -8
2.4 'SVOC' 문형 -9

3. 사건의미 -10
3.1 활동[DO] 사건의미 -10
3.2 상태[BE] 사건의미 -11
3.3 변화결과[BECOME] 사건의미 -11
3.4 사역[CAUSE-BECOME]사건의미 -12

Ⅱ장 문형 속 해석공식의 적용 -17
1. ‘SV’ 문형 -18
공식 1 '행위자 S가 V(를) 하다' -18
공식 2 '묘사 대상자 S가 V하다' -22
공식 3 '경험자 S가 V하(게 되)다' -26
공식 4 '원인자 S가 V되게 하다' -32

2. ‘SVO’ 문형 -34
공식 5 '행위자 S가 O를 V하다' -34
공식 6 '경험자 S가 O를 V하(게 되)다' -38
공식 7 '원인자 S가 O/s로 하여금 V되게 하다' -40
 
3. ‘SVC’ 문형 -42
공식 8 '묘사 대상자 S는 C가(/와/에) V(하)다' -42
공식 9 '변화 대상자 S가 C로(/에게/까지/로 부터) V되다' -50

4. ‘SVOC/SVCO’ 문형 -56
공식 10 '행위자 S가 O를 C로써(/라고/에서/에게) V하다' -56
공식 11 '원인자 S는 O를(/가/로 하여금) C에(/로/따라) V되게 하다' -58


Ⅲ장 명작번역 속 해석공식의 운용 -61
1. 경서(經書)와 제자(諸子)서 -64
1.1 인간의 본성
[성선설/성악설/성무선악설] -64
1.2 배움에 대하여
[마음 닦기/뜻 세우기/진보냐 후퇴냐/배움의 때/온고지신/교학상장/배우고 익히면/공부란 무엇인가?] -66
1.3 인간관계 
[효도/스승과 제자/예의가 아닌 것은/물처럼/서로 사랑하라/준법/승리의 비결] -76
1.4 삶의 태도와 지혜
[백배의 노력/좋은 약/오십보백보/청어람/오른손과 왼손/조삼모사/호가호위] -90

2. 역사서 -106
2.1 신념과 조화
[유비무환/평강공주의 신념/이순신의 필사즉생/광해군이 보는 조화] -106
2.2 우리역사의 이해
[단군조선/서희의 담판/세종실록 속 울릉도와 독도] -114

3. 산문(散文) -120
3.1 가족
[부부/부모와 자녀(1-2)/형제자매] -120
3.2 과학의 세계 
[천간과 지간/둥근 지구/금속활자/수학/의학/언어학] -128
3.3 예술
[솔거가 그린 소나무/이징이 눈물로 그린 새/이명온의 서예 연습법] -140
3.4 우리나라의 지리
[지형/금강산/백두산과 지리산/아! 독도] -146
3.5 민속
[설날/추석/청춘경로회/춤추고 노래하며] -154
3.6 언행과 선행
[언행/누구와 어울리나/신중한 대답/부자 만덕의 선행] -162

4. 운문(韻文)
4.1 향수
[고요한 밤의 상념/절구/비 내리는 가을밤에 나그네 마음] -170
4.2 그대에게
[임을 보내며/사절로 길 떠나는 아들에게/눈 속에 친구를 만나러 갔으나/그대를 기다리며] -178
4.3 자연 속에서
[산중문답/동자에게 묻노니/고원의 역에서/알밤 세 톨/적벽부] -186

이 책을 마치면서 -197
참고문헌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