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포스트휴먼 사회와 새로운 규범 /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한국포스트휴먼학회 편저 ;지은이 : 백종현,박신화,박찬국,박충식,손화철,하대청
포스트휴먼 사회와 새로운 규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포스트휴먼 사회와 새로운 규범 /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한국포스트휴먼학회 편저 ;지은이 : 백종현,박신화,박찬국,박충식,손화철,하대청
  • ·발행사항 파주 : 아카넷, 2019
  • ·형태사항 316 p. :삽화, 도표 ;21 cm
  • ·총서사항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 사회의 규범 ;3)(포스트휴먼사이언스 =PHS ;05)(PHS ;05)
  • ·주기사항 참고문헌(p. 294-310)과 색인수록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6A7931386)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7336519  94300: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412  듀이십진분류법-> 303.483  
  • ·주제명 과학 기술[科學技術]인공 지능[人工知能]미래 사회[未來社會]사회 윤리[社會倫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한국포스트휴먼학회 편저 ;지은이: 백종현,박신화,박찬국,박충식,손화철,하대청 2019 SE0000489892 331.5412-19-7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한국포스트휴먼연구소,한국포스트휴먼학회 편저 ;지은이: 백종현,박신화,박찬국,박충식,손화철,하대청 2019 SE0000489893 331.5412-19-7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을 펴내며 -5

서론 -11 

1부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트랜스휴머니즘 
1장 포스트휴먼 사회의 도래와 휴머니즘 ― 백종현 -27
1. 포스트휴먼 사회에서 휴머니즘의 의미 -27
2. 인간과 인간 규범의 성격 -33
3. 포스트휴먼 사회의 인본주의적 규범 -46
4. 포스트휴먼 사회에서 휴머니즘 증진을 위한 제언 -52

2장 트랜스휴머니즘, 이상인가 신화인가 ― 박찬국 -61
1. 인간은 신적인 존재가 될 수 있는가 -61
2. 트랜스휴머니즘의 본질적 성격 -62
3. 트랜스휴머니즘의 문제점 -75
4. 무엇이 정상적이고 건강한 것인가 -87
5. 죽음은 제거되어야 하는 악일 뿐인가 -88
6. 능력증강 기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 -90

2부 인공지능과 사회 문제 
3장 공존의 존재, 인공지능: 소셜 머신 2.0 ― 박충식 -95
1.인공지능은 공존의 대상 -95
2. 인공지능 디스토피아와 인공지능 유토피아 -97
3. 윤리에서 정치로: 소통과 소셜 머신 -103
4. 인공지능에 대한 거버넌스: 소셜 머신 1.0 -107
5. 인공지능과의 공존: 소셜 머신 2.0 -112

4장 자율적 인공지능에서 ‘휠체어 탄 인공지능’으로 ― 하대청 -116
1. 포스트휴먼 시대 기술의 몬화적 상상 -116
2. 인공지능이 문화적 상상으로 생산하는 자율성 -120
3. 자율성에서 매개와 의존으로 -123
4. 인간의 돌봄노동 vs. 기계의 돌봄노동 -128
5. '자율적 인공지능'이 부정하는 장애와 의존성 -134
6. '휠체어 탄 인공지능' -139

3부 새로운 과학기술의 운용체계와 규범
5장 배아복제 시대의 생명윤리 규범 ― 박신화 -149
1. 인간배아는 인간인가 -149
2. 존중의 이유: 속성에서 존재로 -154
3. 실존하는 인간과 실존의 방식들 -164
4. 배아의 도덕적 지위 -177

6장 포스트휴먼 시대의 과학기술 거버넌스 ― 손화철 -186
1. 개발시대 한국의 구(舊) 과학기술 거버넌스 -186
2. 과학기술 정책에서 신(新) 거버넌스의 등장 -189
3. 포스트휴먼의 도전 -195
4.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대응 -204
5. 목적이 이끄는 과학기술 거버넌스 -212

4부 포스트휴먼 사회를 대비한 정책 제안 
정책 제안 1 인공지능 사용 제품 및 서비스 영향평가 ― 박충식·손화철·하대청 -219
1. 인공지능 사용 제품 및 서비스 영향평가의 필요성 -219
2. 인공지능 영향평가의 성격 -221
3. 인공지능 영향평가의 기대 효과 -223
4. 인공지능 영향평가의 평가요소들 -224
5. 인공지능 영향평가의 제도화 방안 -228
6. 인공지능 영향평가의 예시 -230
7. 인공지능 영향평가의 역할 -234
정책 제안 2 현행 생명윤리법의 쟁점과 개정 방향에 관한 시론 ― 박신화 -236
1. 생명윤리법의 현황 -236
2. 국내외 생명윤리법의 규제규범 -241
3. 생명윤리법의 개정 방향과 범위 -252
4. 기술경쟁 시대의 입법 방향 -259

주석 -261
참고문헌 -294
찾아보기 -311
저자약력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