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평화의 신지정학 / 지은이 :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 통일대비국가전략연구팀
평화의 신지정학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평화의 신지정학 / 지은이 :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 통일대비국가전략연구팀
  • ·발행사항 서울 : 박영사, 2019
  • ·형태사항 vii, 316 p. :삽화, 도표, 지도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30308197  93340: \19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8  듀이십진분류법-> 320.12  
  • ·주제명 정치 지리학[政治地理學]통일(국토)[統一]국제 관계[國際關係]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 통일대비국가전략연구팀 2019 SE0000482427 340.98-19-3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 통일대비국가전략연구팀 2019 SE0000482428 340.98-19-3=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PART 01 영토, 영토성, 그리고 평화

01 1689년 네르친스크평화조약과 유라시아 신지정학…김명섭-3
   Ⅰ. 서 론-3
   Ⅱ. 러·청 접전과 네르친스크의 평화-5
   Ⅲ. 1689년 네르친스크조약이 초래한 평화와 전쟁-12
   Ⅳ. 결 론-16

02 한반도 평화와 동아시아 지정­지경학의 미래…박배균,이승욱,지상현-26
   Ⅰ. 머리말-26
   Ⅱ. 영토와 경계에 대한 포스트 영토주의적 관점-29
   Ⅲ. 동북아의 냉전적 국가 영토성과 한반도의 탈분단-31
   Ⅳ. 탈분단 이후 동북아 지정-지경학의 재편-43
   Ⅴ. 결론: 탈분단 시대, 평화의 가능성은?-46

PART 02 기억과 주체성의 신지정학

03 평화를 위한 동북아시아 기억의 지형…서정민-53
   Ⅰ. 서론: 기억의 국제정치학-53
   Ⅱ. 동아시아에서 민족서사들의 충돌-54
   Ⅲ. 국가담론과 민족담론의 비타협적 공존-59
   Ⅳ. 비국가/비민족 기억의 발견과 확장을 통한 중첩적 집단 기억구조의 형성-62

04 남과 북 서로주체적 통합의 지정학…김학노-67
   Ⅰ. 여는 말-67
   Ⅱ. 남과 북의 서로주체적 통합 방안-69
   Ⅲ. 중국과 미국의 시각에서 본 한반도-72
   Ⅳ. 서로주체적 통합의 지정학-83
   Ⅴ. 맺는 말-93

PART 03 통일 인식과 평화

05 인식조사에 나타난 ‘통일’과 ‘평화’: ‘공존’ 선호자와 ‘통합’ 선호자들의
   행태 차이를 중심으로…진영재-103
   Ⅰ. 문제의식-103
   Ⅱ. 연구방법-106
   Ⅲ. 독립변수들과 분석 매트릭스들-115
   Ⅳ. 두 선호집단의 차이점 및 유사점 분석-122
   Ⅴ. 결론과 예상-136

06 청년세대의 통일의식…김병연-143
   Ⅰ. 서 론-143
   Ⅱ. 청년세대의 통일 필요성에 대한 인식-147
   Ⅲ. 청년세대의 통일 인식: 시간 불변성 對 시간 가변성-149
   Ⅳ. 북한 관련 요인과 청년세대의 통일 인식-157
   Ⅴ. 결 론-165

PART 04 평화의 신지정학적 구성

07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축과 한반도 평화의 신지정학…신범식-173
   Ⅰ. 문제제기-173
   Ⅱ.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178
   Ⅲ.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에 대한 주변국 반응-186
   Ⅳ. 교통의 국제정치와 한반도-199
   Ⅴ. 맺음말-208

08 대항지정학으로서의 평화외교…김태환-225
   Ⅰ. 배타적 정체성의 정치와 가치외교의 부상-225
   Ⅱ. 정체성과 외교정책-227
   Ⅲ. 강대국 가치외교와 가치의 ‘진영화’-234
   Ⅳ. 중견국들의 가치외교와 함의-243
   Ⅴ. 한국의 가치외교로서의 평화외교-251
   Ⅵ. 결 론-263

09 한반도 평화의 복합지정학: 신흥안보론의 시각…김상배-274
   Ⅰ. 머리말-274
   Ⅱ. 신흥안보의 개념적 이해-278
   Ⅲ. 복합지정학의 시각-283
   Ⅳ. 신흥안보와 복합지정학의 친화성-290
   Ⅴ. 한반도 신흥안보의 복합지정학-295
   Ⅵ. 맺음말-305

찾아보기-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