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통사와 혈사로 읽는) 한국 현대사 : 3·1혁명에서 남북정상회담까지, 피와 눈물의 현대사 100년 / 김삼웅 지음
(통사와 혈사로 읽는) 한국 현대사 : 3·1혁명에서 남북정상회담까지, 피와 눈물의 현대사 100년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통사와 혈사로 읽는) 한국 현대사 : 3·1혁명에서 남북정상회담까지, 피와 눈물의 현대사 100년 / 김삼웅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인문서원, 2019
  • ·형태사항 519 p. :삽화, 초상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517-519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86542583  03910: \2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7  듀이십진분류법-> 951.904  
  • ·주제명 한국 현대사[韓國現代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삼웅 지음 2019 SE0000474883 911.07-19-9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삼웅 지음 2019 SE0000486307 911.07-19-9=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삼웅 지음 2019 SE0000486308 911.07-19-9=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글을 시작하며_ 현대사 100년의 통사와 혈사-4

1. 민족사의 대전환 3·1혁명-15
2. 상하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19
3. 김창숙과 유림의 ‘파리장서’ 사건-24
4. 일제가 가장 두려워한 의열단-29
5. 일본 열도에 태풍을 불러온 여운형-34
6. 국치 이래 최초의 왜적 격파, 봉오동대첩-39
7. 청사에 빛나는 청산리대첩-44
8. 임시정부, 이승만 대통령 탄핵-49
9. 결렬되었으나 큰 의미 남긴 국민대표회의-53
10.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민족대회-58
11. 일왕 폭살 미수, 박열의 도쿄 재판-63
12. 일왕 마차에 폭탄 던진 이봉창-69
13. 한인애국단원 윤봉길, 일본 수뇌 폭살-74
14. 학생들이 주축이 된 6·10만세운동-79
15. 국치 이래 최초의 민족협동전선, 신간회-83
16. 전국으로 확산된 광주학생운동-88
17. 좌우 진영 통합한 민족혁명당-92
18. 임시정부, 한국광복군을 창설하다-97
19. 임시정부, 일제에 선전포고-103
20. 국내 두 신문의 일장기 말소 사건-108
21. 최초의 독립운동 여성단체 근우회-112
22. 애국가요와 독립운동가요-116
23. 광복 후 국가 건설의 설계도 ‘건국강령’-123
24. 최후까지 총을 든 조선의용대-128
25. 임시정부, 카이로선언으로 ‘한국 독립’ 확보-134
26. 임정 최초로 좌우 연합 정부 수립-140
27. 주변 열강의 한반도 분단 음모-144
28. 허리 잘린 채 맞은 8·15 해방-150
29.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활동과 좌절-154
30. 점령군이 된 미군, 군정 3년-159
31. 미국, 임시정부 요인 ‘개인 자격’ 귀국시켜-164
32. 단선·단정에 저항한 제주 4·3항쟁-170
33. 해방정국의 블랙홀, 신탁통치안-175
34. 분단만은 막자, 남북협상에 나섰지만-181
35. ‘민주’와 ‘공화’ 두 날개의 헌법 제정-186
36. 해방 3년 만에 대한민국 정부 수립-192
37. 반민특위 해체한 이승만과 친일파-196
38. 대리전 성격을 띤 통한의 6·25 동족상쟁-202
39. 이승만의 학정과 암살 미수 사건-208
40. ‘전작권’ 넘겨주고 권력 연장한 이승만-213
41. 정통 야당의 원조, 민주당 출범-219
42. ‘못 살겠다, 갈아보자’ 민주당 선거 구호-222
43. 날치기로 강화된 국가보안법-227
44. 피난수도 부산에서 첫 쿠데타 음모-232
45. 조봉암 사형과 진보정치 압살-237
46. 고등학생들이 역사의 물꼬 돌린 대구항쟁-242
47. 이승만의 무덤을 판 3·15부정선거와 마산의거-247
48. 독재 타도에 성공한 사상 초유의 4월 혁명-253
49. 혁신계, 중립화통일론 제안-259
50. 내각제 개헌과 솜방망이 부정선거 원흉 재판-264
51. 헌정 질서를 파괴한 박정희 쿠데타-269
52. 중앙정보부 창설, 정보정치의 악행-274
53.『민족일보』를 좌익 경력 세탁용 삼아-279
54. 군사정권이 만든 제3공화국 헌법-285
55. 박정희 전력 둘러싼 사상 논쟁-289
56. 친일 정부의 굴욕적인 한일협정-294
57. 5천 명의 사상자 낸 베트남 파병-299
58. 박정희의 권력 야욕, 3선 개헌 강행-304
59. 노동운동의 전기가 된 전태일 열사 분신-309
60. 박정희와 김대중의 용호상박전-314
61. 유신으로 가는 길목에서 국가비상사태 선포-320
62. 정치 곡예로 끝난 7·4남북공동성명-325
63. 전제군주를 노린 유신쿠데타-330
64. 중정의 김대중 납치 살해 시도-335
65. 들불처럼 일어난 ‘유신 타도’ 횃불-340
66. 반헌법의 ‘도깨비 방망이’ 긴급조치-345
67. 독재의 희생양 ‘민청학련 사건’과 ‘인혁당 사건’-350
68. ‘무릎 꿇고 사느니’ 김상진 열사 자결-355
69. 박정희가 두려워한 장준하 암살-359
70. 반유신의 횃불 ‘3·1민주구국선언’-364
71. 김영삼 제명과 부마민중항쟁-369
72. 김재규, 박정희를 쏘다-373
73. 무능한 최규하 정부와 ‘서울의 봄’-378
74. 전두환 세력, 헌정 짓밟고 군부 반란-384
75. 전두환 반란군에 맞선 광주민중항쟁-389
76. ‘광주의 피’ 딛고 전두환 정권 수립-394
77. 조작된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399
78. 김영삼 단식과 ‘민주화추진협의회’ 결성-404
79. 전두환 몰락의 진원지, 제12대 총선-408
80. 독재의 하수인들 ‘성고문’까지 자행-412
81. ‘탁’ 치니 ‘억’ 하고…… 박종철 고문치사-416
82. 이한열, 6월 민주항쟁의 불꽃-421
83. 신군부 무릎 꿇린 6월 항쟁-426
84. 야권 분열로 노태우 집권-430
85. 5공 미청산과 역사의 역류, ‘3당 야합’-435
86. 김영삼의 정치 개혁과 IMF 국난 초래-441
87. 김대중, 헌정 50년 만의 수평적 정권 교체-445
88. 분단 반세기 만의 첫 남북정상회담-450
89. 서민대통령 노무현의 등장과 죽음-457
90. 탐욕과 부패로 시종한 이명박 정부-463
91. 이명박 실정에 100만 시민 촛불시위-469
92. 유신시대로 회귀한 박근혜 정부-474
93. 통합진보당 해산 참사-478
94. 세월호 참사와 박근혜 정부의 무능, 부패-482
95. 전작권 회수 거부한 ‘이명박근혜’ 정부-487
96. 1,700만의 촛불혁명과 박근혜 탄핵-491
97. ‘문재인 촛불정부’의 출범-495
98. 요원의 불길 ‘미투’, 여성해방운동-500
99. 양승태 사법부의 사법농단-503
100. 복합 구조의 한반도 주변 상황-508

글을 마치며_ 독립운동 → 민주화운동 → 평화운동의 길-512
참고문헌-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