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장준하 평전 / 김삼웅 지음
장준하 평전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장준하 평전 / 김삼웅 지음
  • ·판사항 개정판
  • ·발행사항 서울 : 시대의창, 2019
  • ·형태사항 592, 도판 [16] p. ;19 cm
  • ·주기사항 권말부록: 수기처럼 돌베개를 베고 ; 민주당 사인규명조사위원회 보고서 ;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진상규명 불능' 판정
    "장준하 선생 연보"와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406920  03990: \185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9  듀이십진분류법-> 320.092  
  • ·주제명 장준하,張俊河,1918-1975민주화 운동가[民主化運動家]평전[評傳]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삼웅 지음 2019 SE0000457363 340.99-19-15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김삼웅 지음 2019 SE0000457364 340.99-19-15=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제1장 풀리지 않는 의문사, 반생의 위업
광복군으로 귀국 30년 뒤 의문사 -20
외상 없는 시신 -24
‘실족사’로 볼 수 없는 10가지 의문점 -29
‘거사’ 앞두고 신변정리 -35
‘금지된 동작’을 맨 먼저 시작한 혁명가 -40
장준하 장남이 털어놓은 의문점 -45
사생결단 ‘거사’ 앞두고 모살당했을 수도 -51
신구합동의 명동성당 장례식 -53
약사봉 계곡의 진혼곡 -57
부재의 혼 -60

제2장 의주에서 태어나 삭주에서 자라
역사의 길, 현실의 길 -64
정도를 택한 의인의 길 -67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 -72
첩첩산중의 청계동 마을로 이사 -77
신성중학교에서 사회의식에 눈떠-82
평생의 동반 ‘함 도깨비 선생’ -88

제3장 가정이 어려워 진학 포기하고 교직생활
신성학교 교사로 3년 재직 -94
동맹시위 벌여 일경과 맞서-99
창공을 바라보는 소년 -104
일본 유학생활 -107
춘원·육당의 학병지원 강연 -113
제자 김희숙과 결혼 -118

제4장 일본군 탈출, 대장정에 나서
중국 망명 위해 일본군에 지원 -122
‘잔반불식동맹’ 결성 -127
사활을 건 탈출 -132
모험에 나선 4명의 동지들 -136
쫓고 쫓기는 질주 -141
김준엽과의 만남 -150
일본군의 포로교환 요구 -154
불로하에서 부른 애국가 -159

제5장 임천군관학교 활동 3개월
팔로군의 기습 -164
한치룡 사령관의 전사 -169
중국군 사령관의 타락상 -175
임천분교에서 만난 김학규 주임 -180
대원들의 교양지 《등불》 제작 -184
열악한 생활 환경 -190
임시정부 찾아 6000리 장정에 나서다 -195

제6장 파촉령 넘어 중경임시정부 도착
부패한 중국군 -200
노하구에 도착 -205
파촉령을 넘어서다 -210
꿈에 그리던 임시정부 -214
임정요인들의 파벌싸움 -221
“임정청사에 폭탄 던지고 싶다”-226 
《등불》 속간 -230
광복군 제2지대에 편입되다 -234

제7장 OSS 대원에서 환국하기까지
서안에서 OSS 훈련받아 -238
새 잡지 《제단》 창간 -243
국내진공정진대에 선발 -247
거듭되는 반전 또 반전 -251
광복군으로 여의도공항 착륙-255 
일본군과 대치하다 중국으로 돌아가-260 
김구 주석과 선발대로 환국 -264
환영객 없는 귀국 -269
김구 주석 연설문 작성 -272

제8장 해방정국에서 백범의 비서로 활동
해방공간에서 김구 주석의 행보 -276
4당 거두의 연쇄회담 준비 -281
임시정부 환국봉영회 -289
지도자들의 처신에 환멸 -294
김구 곁을 떠나 이범석의 족청으로 -300

제9장 시대의 양식 《사상계》 창간
모든 혁명은 이론서에서 시작된다 -306
《사상》 발행하다 《사상계》 창간 -312
다시 “못난 조상이 되지 않기 위해” -319
부인이 옷가지 팔아 제작비 부담 -321
혼자서 만든 《사상계》 초창기 -324
《사상계》를 향한 집념 -328
한청빌딩 시대 -332

제10장 《사상계》, 정론지로 자리잡아
편집위원 체제 갖추다 -338
《사상계》의 편집방향과 지침 -342
《사상계》 헌장 -346
들사람 함석헌 ‘발굴’-349 
낙양의 지가 올린 <할 말이 있다>-354
‘신인문학상’ ‘동인문학상’ 제정 -361
친일지식인 ‘최남선’ 기념호 발행 -365

제11장 반이승만 투쟁과 4월 혁명
함석헌의 첫 필화사건 -370
이승만 정권의 탄압 -374
백지 권두언 -382
어용교수의 글, 불순광고 게재 거부-388
4.19혁명기의 《사상계》 깃발 -392
‘민권승리’의 기념호 -398
전국순회문화강연회와 《사상문고》 발행 -406

제12장 제2공화국 참여와 반군정 투쟁
혁명과업에 대한 인식 -410
국토건설본부의 책임 맡아 -415
박정희 주도의 5.16쿠데타 -421
정론정신 회복, 반군정 투쟁 벌여 -427
함석헌 선생과 함께 체포 -431
‘부패언론인’이란 오명 -435
《사상계》 고사작전에 맞서 -439
김종필과 민족주의 논쟁 -442
박정희 사상문제에 초점 맞춰-446 

제13장 《사상계》의 수난과 반독재 투쟁
굴욕회담 반대투쟁 -450
정치보복 세무사찰 당해-456 
“박정희는 밀수왕초다”-463
‘정치참여’ 의지인가 숙명인가-468
정계진출, 국회의원 옥중당선 -473
《사상계》 발행권 부완혁에게 넘겨-479
《사상계》 몰락의 배경 -483
국회의원 장준하의 활동 -486

제14장 사활을 건 박정희와의 싸움
영구집권을 향한 친위쿠데타 -494
<7.4남북공동성명> 지지선언 -498
“통일 이상의 지상명령은 없다”-502 
반유신 저항운동진영 결집 나서 -507
100만인 서명운동 -512
긴급조치 제1·2호 발동, 세 번째 구속 -514
박 대통령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518
‘재야 대통령’의 재야 지도자로 -521

제15장 “선생의 발자국 있으매” - 추모·회상
친일파 세상에 설 땅 잃은 광복군 -526
“민족의 동량을 너무 일찍 잃었다”-529
동양의 선비, 서양의 인텔리겐치아-538
청렴·선공후사의 표상-543

부록
1. 장준하 선생 연보 -548
2. 수기처럼 돌베개를 베고-552 
3. 민주당 사인규명조사위원회 보고서-558 
4.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진상규명 불능’ 판정-567

찾아보기-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