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횡단적 사유와 역사인식 :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횡단적 읽기 / 저자 : 이상동,한영화,이현주,박재우,권순홍,조성산,이혜린,김진흠,오제연,정동준,이정민
횡단적 사유와 역사인식 :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횡단적 읽기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횡단적 사유와 역사인식 :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횡단적 읽기 / 저자 : 이상동,한영화,이현주,박재우,권순홍,조성산,이혜린,김진흠,오제연,정동준,이정민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8
  • ·형태사항 402 p. :지도 ;23 cm
  • ·총서사항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총서 ;17권)
  • ·주기사항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0681574  93900 : \36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05  듀이십진분류법-> 951.9  
  • ·주제명 한국사[韓國史]논문집[論文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저자: 이상동,한영화,이현주,박재우,권순홍,조성산,이혜린,김진흠,오제연,정동준,이정민 2018 SE0000404448 911.005-18-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저자: 이상동,한영화,이현주,박재우,권순홍,조성산,이혜린,김진흠,오제연,정동준,이정민 2018 SE0000404449 911.005-18-2=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제1부 의례·공간 읽기∥
■신라 사면의 의례와 공간 | 한영화
1. 머리말 
2. 대사(大赦)와 녹수(錄囚)의 공간 
3. 사유례(赦宥禮)의 공간적 구성
4. 맺음말

■신라 중대 유교식 혼인의례의 도입과 왕후 | 이현주
1. 머리말 
2. 신목왕후와 유교식 혼인의례
3. 신목왕후의 위상 
4. ‘왕후’ 칭호와 중대 왕후의 위상
5. 맺음말 

■고려전기 영토관념과 변경(邊境) | 박재우
1. 머리말
2. 영토관념과 영토 
3. 영토와 변경의 양상 
4. 맺음말 

■조선 전기의 고구려 초기 도성(都城) 위치 비정과 그 실상 | 권순홍
1. 머리말 
2. 졸본(卒本)의 위치 비정 
3. 국내성(國內城)의 위치 비정
4. 맺음말 

■18세기 후반 이희경(李喜經)·박제가(朴齊家)의 북학사상 논리와 고학(古學) | 조성산
1. 머리말 
2. 성인(聖人)과 고제도(古制度): 이희경의 북학사상 논리 
3. 『주례(周禮)』와 시의성(時宜性): 박제가의 북학사상 논리 
4. 고학(古學)과 북학론(北學論)의 상호 관련성
5. 맺음말 

∥제2부 담론·정치 읽기∥
■1920년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령불신임운동의 주체와 성격 | 이혜린
1. 머리말 
2. 임시정부 개혁논의의 등장 
3. 대통령불신임문제의 공론화와 불신임안 제출
4. 맺음말 

■1958년 5·2총선 연구: 부정 선거를 중심으로 | 김진흠
1. 머리말
2. 1958년 5·2총선의 배경과 준비 과정 
3. 선거에서의 부정행위
4. 1958년 5·2총선의 선거 결과와 재선거 
5. 맺음말 

■1970년대 ‘유언비어’의 불온성 | 오제연
1. 머리말 
2. 일상 속의 유언비어
3. 언론통제와 불신사조
4. 유언비어에 담긴 공감대
5. 맺음말 

∥제3부 텍스트·인식 읽기∥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고대사 서술 분석: ‘평화 공존’ 목표를 저해하는 서술을 중심으로 | 정동준
1. 머리말
2. 고대사 분야의 지적사항
3. ‘평화 공존’ 목표를 저해하는 서술 
4. 맺음말

■탄원서에 나타난 서독인들의 동백림사건 인식 | 이정민
1. 들어가며 
2. 남한정부와 서독정부의 동백림사건 인식 
3. 동백림사건 탄원서 현황 
4. 동백림사건 탄원서의 내용 
5. 나가며 

■스코틀랜드 왕가의 ‘신성한’ 혈통 만들기: 알렉산더 2세와 성 마가렛 숭배 | 이상동
1. 서론 
2. 1249년 성 마가렛의 시성 
3. 알렉산더 2세의 수도원 후원과 정치적 야심 
4.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