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형 발전국가의) 국가이념과 정치제도 / 박성우,손병권 지음
(한국형 발전국가의) 국가이념과 정치제도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형 발전국가의) 국가이념과 정치제도 / 박성우,손병권 지음
  • ·발행사항 고양 : 인간사랑, 2018
  • ·형태사항 273 p. ;23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2014년 교육부 지원 한국학진흥산업(과제명: 한국형 발전모델의 70년사: 한국 발전 경험의 확장과 융합의 역사, 과제번호 AKS-2014-KSS-121003) 지원에 따른 것임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4183806  93340 : \2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40.911  듀이십진분류법-> 320.9519  
  • ·주제명 정치 제도[政治制度]한국 정치사[韓國政治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박성우,손병권 지음 2018 SE0000403851 340.911-18-50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박성우,손병권 지음 2018 SE0000403852 340.911-18-50=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 5

 1부 한국형 발전국가의 국가이념의 진화-박성우 13

I. 서론 15
1. 왜 한국형 발전국가를 재조명하는가? 15
2. 한국형 발전국가에 대한 다양한 평가: 경제성장, 민주화, 
    세계화에 따라서 19

II. 한국형 발전의 전조기(1945년-1961년)와 이승만 정부의 
국가이념 23
1. 이승만 정부 국가이념의 배경 23
2. 이승만 정부의 국가이념 1 - 문명과 부강(富强)의 이중주  28
3. 이승만 정부의 국가이념 2 - 발전형 국가이념의 맹아 38

III. 한국형 발전의 성립기(1961년-1987년)와 박정희 정부의 
국가이념 42
1. 발전국가론의 배경 42
2. 발전국가 국가이념의 성립 48
3. 발전국가의 국가이념으로서의 민주주의론 57
4. 발전국가의 국가이념으로서의 국력배양론과 자주국방론 74

IV. 민주화와 국가이념의 진화: 정의 담론과 헌법개정논의 82
1. 한국형 발전국가론에 대한 도전: 민주화와 세계화 82
2. 국가이념의 진화로서의 정의 담론 87
3. 국가이념의 진화로서의 개헌논의 98

V. 결론 132

 2부 한국형 발전국가의 정치제도-손병권  143

I. 서론 145
1. 연구의 목적과 순서 145
2. 연구의 방법 153

II. 민주적 정치제도의 도입과 좌절
(1948-1961: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 157
1. 제1공화국의 정치제도 161
2. 제2공화국의 정치제도 165

III. 발전국가의 토대를 위한 정치제도의 선택
(1963-1972: 제3공화국)  169
1. 대통령제 권력구조 170
2. 선거제도와 정당체제 174
3. 정당공천제도의 도입 177
4. 효율중심의 국회운영 181

IV. 권위주의의 등장과 민주적 정치제도의 왜곡
(1972-1987: 제4공화국과 제5공화국) 185
1. 권위주의의 도래와 대통령 간접선거의 권력구조 190
2. 거대여당 구축을 위한 선거제도과 경쟁부재의 정당체제 199
3. 국회운영방식 209

V. 다원주의적 포스트 발전국가의 등장과 정치제도
(1987-2015: 제6공화국) 210
1. 민주화 이후 3김시대의 정치제도와 문제점(1987-2002)  215
2. 제왕적 총재의 퇴진 이후 정치제도 변화의 양상과 과제(2002-2015) 226

VI. 결론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