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자료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일반자료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문학과 보편주의 = Korean literature, and universalism / 지은이 : 조강석
한국문학과 보편주의 = Korean literature, and universalism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문학과 보편주의 = Korean literature, and universalism / 지은이 : 조강석
  • ·발행사항 서울 : 소명출판, 2017
  • ·형태사항 472 p. ;24 cm
  • ·총서사항 (동아시아한국학연구총서 ;25)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051739  94810 : \3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한국 문학[韓國文學]보편 주의[普遍主義]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조강석 2017 SE0000318746 810.9-17-28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조강석 2017 SE0000318747 810.9-17-28=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목차

간행사
서문

제1부 | 보편주의와 심미적 가상 그리고 실재에의 열망
도착적 보편과 마주선 특수자의 요청
-김기림의 경우
1. 애도 작업(Trauerarbeit)과 로고스의 문제
2. ‘근대’라는 대문자 타자(Autre, the Other)
3. 근대의 결산
4. 지연되는 요청으로서의 보편

해방기 김기림의 의식 전회 연구보편주의와 특수주의를 중심으로
1. 근대의 결산 혹은 지연된 요청으로서의 보편
2. 근대의 청산과 실재의 정화작업
3. 근대의 재결산과 이중구속
4. 실재의 공제
5. 결론을 대신하여

해방기 시론의 보편주의 연구‘실재에의 열망’을 중심으로
1. 복수의 보편주의와 실재를 향한 열망
2. 실재의 정화작업과 보편의 구제-김기림의 경우
3. 실재의 정화와 심미적 보편주의-조지훈의 경우
4. 생활의 귀납과 감산적 보편주의-김동석의 경우
5. 결론을 대신하여

보편성과 심미적 가상 그리고 공동체
-백석과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사랑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1. 보편성 없는 공동체 혹은 부재하는 공동체
2. 심미적 공동체
3. 소통(교통, communication)의 실패와 사랑의 현상학
4. 공동체를 향한 정념
5. 무위와 미완의 공동체, 그리고 사랑의 변주와 시의 영구혁명
6. 민주주의와 공동체의 ‘토대 없음’과 문학-결론을 대신하여

제2부 | 한국시와 근대가 교섭하는 방식들
정지용 초기시에 나타난 근대의 ‘감성적(?sthetisch)’ 전유 양상 고찰
1. 낯선 자극과 감성적 인지
2. 정지용의 시에서 감각, 정서, 감성의 의미
3. 근대의 감성적 순치
4. 근대의 감성적 전유
5. 결론

이상의 ?오감도? 연작에 개진된 알레고리적 태도와 방법 연구
1. 파토스의 영점(零點)과 슬픈 투시벽
2. 『오감도』 연작의 시사적 맥락
3. 알레고리에서 가치의 탈취와 상승
4. 『오감도』 연작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태도와 방법
5. 결론

한국 근대시에서 절망과 기교가 교섭하는 두 가지 방식
-이상과 김춘수를 중심으로
1. 문학사가로서의 김춘수와 전범(典範)으로서의 이상
2. 절망과 기교의 두 가지 교섭 방식
3. 『꽃나무』로부터 ?절벽?으로-절망의 재귀적 운동
4. 억압된 ‘방심상태’의 회귀와 무의미시
5. 무의미시와 ?처용단장? 사이의 긴장
6. 결론

김수영과 시각(視覺)의 문제
1. 근대성과 시각
2. ‘속지 않고 보기’와 시선의 재정향(再定向)
3. ‘응시(the gaze)’, 그리고 불안과 저항
4. 근대적 시각장의 균열과 ‘바로 봄’

제3부 |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문학적 교환
1960년대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교환
1. ‘일반의지’의 왜곡과 불복종의 간극
2. ‘정동’이라는 렌즈
3. 1960년대의 이항대립과 정동-시민적 윤리와 대중적 욕망의 간극
4. 당위와 현실 그리고 간극의 이행
5. 결론을 대신하여

신동엽 시의 민주주의 미학 연구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1. ‘민주주의라는 부유하는 기표’
2. 대의와 재현의 여백
3. 희망의 입법기관
4. 영원한 부정으로서의 민주주의와 시
5. 세 개의 하늘
6. 눈동자와 희망의 형상

‘진보’의 범례적 귀납
1. 근대와 진보라는 의제
2. 진보와 ‘진보들’ 사이
3. ‘진보’를 전유하기
4. 범례적 귀납의 장단점

제4부 | 문학·문화 연구의 동아시아적 지평
근대 초기 외국인 방문기에 나타난 세 가지 시선
1. 타자를 어떻게 표상할 것인가?
2. 진보적 작가의 유럽중심주의와 오리엔탈리즘
3. 복고풍의 심미적 오리엔탈리즘
4. 지리적 확산론과 근대적 시각 체계
5. 나가며

동아시아 문화연구의 성과와 새로운 조건
1. 동아시아 문화 연구의 의의
2. 동아시아 문화 연구의 성격
3. 생산과 조절로서의 동아시아 문화 연구의 성과와 한계
4. 동아시아 문화 연구의 새로운 대상 정립을 위하여

한국 근대문학과 중국, 그리고 문학 연구의 동아시아적 지평
1. 한국 근대문학 형성의 다중 지평 중  하나로서 중국이라는 참조항
2.『한국 근대문학과 중국』의 문제의식과 구성
3. 사실관계의 재정립과 중국 방문 체험의 변용
4. ‘언어횡단적 실천’으로서의 번역
5. 결론을 대신하여

관계론적 사유의 문학적 전개
-『문심조룡』의 장르론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본론
3.『문심조룡』의 체재와 원리
4.『문심조룡』의 장르론적 이해
5.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