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특종 1987 : 박종철과 한국 민주화 / 신성호 지음
특종 1987 : 박종철과 한국 민주화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특종 1987 : 박종철과 한국 민주화 / 신성호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중앙books :중앙일보플러스, 2017
  • ·형태사항 239 p. :삽화, 초상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7808329  03910 : \1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70.434  듀이십진분류법-> 070.44932  
  • ·주제명 취재 보도[取材報道]6월 민주 항쟁[六月民主抗爭]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신성호 지음 2017 SE0000306220 070.434-17-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추천사 민주주의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 ‘박종철’ 특종 
프롤로그 1987년을 기억하며

1장 박종철 사건 보도, 그 숨 가빴던 24시간의 기록

2장 한 젊은이의 죽음, 진실이 밝혀지기까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급박했던 10일의 기록
고조된 민주화 열망
6월 항쟁의 시작, 박종철
박종철의 이름으로 성취한 국민의 승리

3장 대한민국 민주화는 박종철 사건 전후로 나뉜다 
1980년 서울의 봄, 다시 암흑 속으로 
국민의 귀를 막고 눈을 가리다 
가장 정확한 뉴스는 ‘대자보’와 ‘카더라 통신’
인권 유린과 강압 정치
국민의 정치적 무관심을 유도하다 
왜 박종철인가 

4장 해외 사례로 본 박종철 사건의 의의
탐사보도로 역사를 만들다 - 미국 워터게이트 사건 
군부의 인권 탄압에 맞서다 - 프랑스 드레퓌스 사건 
한 청년의 죽음이 시민을 움직이다 - 튀니지 재스민 혁명

5장 언론, 민주화의 도화선에 불을 댕기다
제 기능을 상실한 언론 
박종철 사건, 언론이 진실을 알리다
사회면 기사에서 1면 톱기사가 되다 
정부의 강압에 맞서다 
언론, 6월을 이야기하다 

6장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는 없다 
한 젊은이의 죽음, 경찰이 은폐를 시도하다 
유족을 회유하고 시신 화장을 서두르다
사건 은폐에서 축소로 방향을 바꾸다 
검찰, 2월 말 범인 축소 알았다 
사건 축소 세상에 알려지다 
사건 후 1년, 부검의 일기 공개로 경찰 총수 구속되다 
경찰의 은폐·축소, 부메랑되어 돌아오다 

7장 진실을 밝히기 위해 움직인 사람들 
25년 만에 밝혀진 딥 스로트 이홍규
사체 화장 막은 공안부장 최환
물고문 의혹 제기한 의사 오연상 
물고문 혐의 처음으로 밝힌 정구영 서울지검장
박종철 1주기, 경찰의 회유·압박 공개한 부검의 황적준

8장 학생운동에서 시민운동으로 - 사회 각계각층의 움직임
직선제 개헌을 위한 움직임 
종교계가 움직이다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성명과 6월 항쟁
재야세력의 움직임 
학생운동에서 시민운동으로 

9장 뜨겁고 치열했던 1987년 6월
서서히 달궈진 6월의 이야기 
명동성당을 넘어 전국으로
경적운동부터 넥타이 부대까지 
시위 진압 위해 비상계엄령 검토했다 
보이지 않는 손, 해외의 민주화 압력 

10장 6·29선언이 우리에게 가져온 것들 
국민의 승리, 6·29선언 
6·29선언 이후의 이야기
6·29선언, 누구의 각본인가

에필로그 아직도 끝나지 않은 이야기, 박종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