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역사 / 헤로도토스 지음 ;김봉철 옮김
역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역사 / 헤로도토스 지음 ;김봉철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길, 2016
  • ·형태사항 989 p. :천연색삽화, 지도, 초상 ;24 cm
  • ·총서사항 (코기토 총서.세계사상의 고전 ;035)
  • ·주기사항 원표제:Historiai
    원저자명: Herodotos
    참고문헌(p. 947-948), "고대 지중해 세계 연표"와 색인수록
    고대 그리스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4451366  93900 : \5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21.03  듀이십진분류법-> 938.03  
  • ·주제명 페르시아 전쟁 시대[--戰爭時代]역사[歷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헤로도토스 지음 ;김봉철 옮김 2016 SE0000277053 921.03-17-1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헤로도토스 지음 ;김봉철 옮김 2016 SE0000282003 921.03-17-1=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헤로도토스 지음 ;김봉철 옮김 2016 SE0000282004 921.03-17-1=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해제 : 헤로도토스의 『역사』 어떻게 읽을 것인가   013 
옮긴이의 말   041 
일러두기   054

제1권

제1~5장 서언. 그리스인들과 이방인들의 불화 사례   059

제6~94장 리디아 왕 크로이소스의 지배   064 
   제6~7장 크로이소스와 리디아의 초기 왕들 
   제8~15장 크로이소스의 조상 기게스의 지배 
   제16~25장 알리아테스의 지배   
   제26~28장 크로이소스의 정복 활동 
   제29~33장 크로이소스와 솔론 
   제34~45장 크로이소스의 아들 아티스 사망 
   제46~55장 크로이소스와 델포이 신탁 
   제56~58장 펠라스기아인의 내력과 언어 
   제59~64장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참주정 
   제65~68장 스파르타의 상황: 정치 개혁과 테게아 전쟁 
   제69~70장 리디아와 스파르타의 동맹 체결 
   제71~85장 크로이소스의 페르시아 원정과 패배 
   제86~92장 크로이소스와 키로스 
   제93~94장 리디아의 관습과 문화 

제95~216장 페르시아 왕 키로스의 지배   127 
   제95~107장 메디아의 지배자들 
   제108~30장 키로스의 탄생과 양육. 메디아 멸망과 키로스 즉위 
   제131~40장 페르시아의 관습과 문화 
   제141~77장 키로스의 이오니아, 소아시아 정복 
   제178~87장 바빌론의 도시 구조와 성벽 
   제188~92장 키로스의 바빌론 정복 
   제193~200장 바빌론 지역의 관습과 문화 
   제201~14장 키로스의 마사게타이 원정과 키로스의 죽음 
   제215~16장 마사게타이인의 관습과 문화 

제2권 

제1장 페르시아 왕 캄비세스의 즉위와 이집트 원정 착수   203 

제2~4장 프삼메티코스 왕의 실험과 이집트인들의 업적   203 

제5~34장 이집트의 지리   205 
   제5~18장 이집트의 지형과 크기 
   제19~27장 나일 강의 홍수 원인 
   제28~34장 나일 강의 원천 

제35~98장 이집트의 관습과 문화   222 
   제35~36장 이집트와 다른 지역의 관습 차이 
   제37~48장 이집트인의 종교적 관습 
   제49~58장 이집트 신앙과 제식의 그리스 전래 
   제59~64장 이집트의 제전들 
   제65~76장 이집트의 동물과 동물숭배 
   제77~91장 이집트 경작 지대의 관습 
   제92~98장 이집트 늪지대의 관습과 문화 

제99~182장 이집트의 역사   257 
   제99~141장 이집트의 왕들: 민, 세소스트리스, 케옵스, 미케리노스, 세토스 등 
   제142~46장 이집트의 연대 추산 
   제147~82장 이집트의 왕들: 프삼메티코스, 네코스, 아프리에스, 아마시스 등

제3권

제1~38장 캄비세스의 이집트 원정   317
   제1~3장 캄비세스의 이집트 원정 이유
   제4~16장 이집트 정복과 캄비세스의 만행
   제17~26장 페르시아의 에티오피아와 암몬 원정 실패
   제27~38장 캄비세스의 광적인 행동

제39~60장 스파르타의 사모스 공격   340
   제39~43장 폴리크라테스의 번성
   제44~53장 사모스 공격의 배경
   제54~59장 사모스 공격과 철군
   제60장 사모스의 건설 업적 

제61~87장 페르시아 왕 다레이오스의 즉위   353 
   제61~67장 마고스의 반란과 캄비세스의 사망 
   제68~79장 7인의 거사 
   제80~82장 정치체제 논의 
   제83~87장 다레이오스의 즉위 

제88~117장 다레이오스의 통치 영역   371 
   제88~97장 20개 통치관구 제정 
   제98~105장 인도인들의 관습과 문화 
   제106~17장 세계 변방들의 자연 환경과 산물 

제118~60장 다레이오스의 지배   384 
   제118~28장 인타프레네스와 폴리크라테스, 오로이테스의 죽음 
   제129~38장 크로톤의 명의 데모케데스 
   제139~49장 페르시아의 사모스 정복 
   제150~60장 바빌론의 반란과 페르시아의 재정복 

제4권 

제1~82장 스키티아인들이 관습과 문화   411 
   제1~4장 다레이오스의 스키티아 원정 배경 
   제5~16장 스키티아인들의 유래 
   제17~20장 스키티아인 종족들 
   제21~35장 스키티아 너머의 종족들 
   제36~45장 세계의 지리: 리비아, 아시아, 에우로파 
   제46장 스키티아인들의 유목 생활 
   제47~58장 스키티아의 강들 
   제59~75장 스키티아인들의 관습: 제사, 전쟁, 예언술, 장례 
   제76~80장 스키티아인들의 외국 관습 배격 
   제81~82장 스키티아인들의 인구수 

제83~144장 다레이오스의 스키티아 원정   452 
   제83~98장 원정군의 진로와 이스트로스 강 도강 
   제99~101장 스키티아의 지형 
   제102~20장 스키티아 주변 종족들과 그들의 관습 
   제121~29장 스키티아인들의 후퇴와 페르시아군의 추격 
   제130~44장 페르시아군의 곤경과 퇴각 

제145~205장 페르시아의 리비아 원정   479  
   제145~67장 테라와 키레네의 건국과 역사 
   제168~80장 트리토니스 호수 동쪽 해안의 리비아인 종족들과 그들의 관습 
   제181~85장 내륙의 리비아인 종족들과 그들의 관습 
   제186~90장 트리토니스 호수 동쪽의 리비아인들의 유목민 관습 
   제191~96장 트리토니스 호수 서쪽의 리비아인 종족들과 그들의 관습 
   제197~99장 리비아의 지리와 생산 
   제200~05장 페르시아군의 리비아 원정

제5권

제1~27장 페르시아의 트리키아, 마케도니아 원정   513
   제1~2장 메가바조스의 페린토스, 트라키아 정복
   제3~8장 트라키아인 종족들과 그들의 관습
   제9~10장 이스트로스 강 너머의 종족과 관습
   제11~16장 메가바조스의 파이오니아 정복
   제17~22장 페르시아 사절들의 마케도니아 방문과 피살
   제23~24장 히스티아이오스의 수사행(行)
   제25~27장 오타네스의 비잔티온, 렘노스 점령

제28~37장 이오니아 반란 발생   525
   제28~34장 밀레토스와 페르시아 연합군의 낙소스 원정 실패
   제35~37장 이오니아의 반란 개시

제38~54장 아리스타고레스의 스파르타 방문과 스파르타의 지원 거절   531
   제38~48장 스파르타의 클레오메네스와 도리에우스
   제49~51장 클레오메네스의 지원 거절
   제52~54장 ‘왕의 길’의 경로와 역참들

제55~97장 아리스타고레스의 아테네 방문과 아테네의 지원 수락   541
   제55~56장 히피아스의 동생 히파르코스의 피살
   제57~61장 페니키아 문자의 그리스 유입
   제62~65장 아테네의 참주정 붕괴와 히피아스 출국
   제66~69장 클레이스테네스의 부족제 개편
   제70~89장 아테네의 대외적 분쟁들
   제90~96장 히피아스의 아테네 복귀 좌절
   제97장 아테네의 지원 수락

제98~126장 이오니아 군대의 공세와 키프로스 반란   572
   제98장 파이오니아인의 귀향
   제99~103장 이오니아 군대의 사르디스 공격
   제104~15장 키프로스의 반란과 좌절
   제116~23장 페르시아군의 반란 지역 진압: 헬레스폰토스, 카리아, 아이올리스, 이오니아 일부
   제124~26장 아리스타고레스의 도피와 사망

제6권

제1~42장 페르시아가 이오니아 반란 진압   587
   제1~5장 히스티아이오스가 반란 가담
   제6~18장 이오니아인들의 라데 전투 패배와 밀레토스 함락
   제19~30장 밀레토스 함락의 여파와 히스티아니오스의 죽음
   제31~33장 페르시아의 이오니아 재정복 및 헬레스폰토스 서부 지역 점령
   제34~42장 밀티아데스 일가의 케르소네노스 통치

제43~45장 마르도니오스의 그리스 원정과 중도 퇴각   606

제46~120장 다레이오스 치세의 그리스 원정   607
   제46~47장 다레이오스의 타소스 제압
   제48~49장 다레이오스가 그리스 국가들에 항복 요구. 아이기나인의 항복
   제50~73장 스파르타 왕 클레오메네스의 아이기나 응징
   제74~84장 클레오메네스의 행적과 죽음
   제85~93장 아테네와 아이기나의 분쟁
   제94~101장 페르시아군의 그리스 원정과 에레트리아 점령
   제102~17장 마라톤 전투와 그리스군의 승리
   제118~20장 페르시아군의 퇴각과 스파르타군의 뒤늦은 도착

제121~31장 알크메오니다이 가문   650

제132~40장 밀티아데스의 행적: 파로스 원정과 렘노스 점령   657

제7권

제1~4장 다레이오스의 그리스 원정 재개 준비와 죽음   665

제5~19장 페르시아 왕 크세륵세스의 즉위와 그리스 원정 결정   667

제20~131장 크세륵세스의 그리스 원정   681
   제20~25장 원정 준비와 아토스 운하 건설
   제26~32장 크세륵세스 휘하 육군의 진군: 카파도키아에서 사르디스로 행군
   제33~36장 헬레스폰토스에 부교 건설
   제37~44장 크세륵세스 휘하 육군의 진군: 사르디스에서 아비도스로 행군
   제45~56장 크세륵세스와 아르타바노스. 페르시아 육군의 헬레스폰토스 통과
   제57~60장 페르시아 육해군의 도리스코스 도착. 전군의 인원 점검
   제61~83장 페르시아 육군 보병의 구성과 규모
   제84~88장 페르시아 육군 기병의 구성과 규모
   제89~100장 페르시아 해군의 구성과 규모. 크세륵세스의 전군 사열
   제101~04장 크세륵세스와 데마레토스
   제105~27장 페르시아 육해군의 테르메 도착
   제128~31장 크세륵세스의 피에리아 방문과 테살리아의 지형

제132~78장 그리스인들의 대응과 전쟁 준비   729
   제132~37장 크세륵세스의 항복 요구와 일부 그리스인들의 항복
   제138~44장 아테네인들의 델포이 신탁 문의와 테미스토클레스의 신탁 해석. 테미스토클레스의 전함 건조
   제145~71장 그리스인들의 협약 체결과 페르시아 정탐. 아르고스, 시라쿠사, 크레타의 동조 거부
   제172~74장 테살리아인들의 페르시아군 가담
   제175~78장 그리스군이 테르모필라이와 아르테미시온에 집결

제179~239장 페르시아군의 진격과 양군의 결전   758
   제179~83장 페르시아 해군의 남하
   제184~87장 페르시아 육해군의 전체 규모: 추가 병력 포함
   제188~95장 페르시아 해군의 난파와 아페타이 정박
   제196~200장 페르시아 육군의 멜리스 도착
   제201~33장 테르모필라이 전투와 페르시아군의 승리
   제234~38장 페르시아군의 작전 논의. 레오니데스 시신 훼손
   제239장 데마레토스의 비밀 전갈

제8권

제1~23장 아르테미시온 해전과 양측의 손실   791
   제1~3장 그리스 해군의 전력과 지도권
   제4~5장 그리스 해군의 아르테미시온 주둔
   제6~14장 제1차 해전. 폭풍과 페르시아 해군의 손실
   제15~18장 제2차 해전과 양측의 손실
   제19~20장 에우보이아의 가축 피해
   제21~23장 테르모필라이 패전 소식과 그리스 해군의 퇴각

제24~39장 페르시아군의 진격: 포키스와 보이오티아로 진군   801
   제24~26장 페르시아군의 상황
   제27~30장 테살리아인과 포키스인의 불화
   제31~33장 페르시아군의 포키스 진군
   제34~39장 페르시아군의 보이오티아, 델포이 진군

제40~96장 살라미스 해전과 그리스군의 승리   807
   제40~41장 아테네인들의 아티카 철수
   제42~49장 살라미스의 그리스 해군 전력. 해전 장소 논의
   제50~55장 페르시아군의 아테네 점령
   제56~64장 그리스인들이 살라미스를 해전 장소로 결정
   제65~69장 페르시아군이 해전을 치르기로 결정
   제70~83장 그리스군의 재논의와 테미스토클레스의 행적
   제84~96장 살라미스 해전

제97~120장 크세륵세스의 퇴각과 아시아로의 귀환   836
   제97~103장 크세륵세스의 퇴각 결정
   제104~10장 페르시아 해군의 퇴각과 그리스군의 추격
   제111~12장 그리스군의 안드로스 공격
   제113~20장 크세륵세스의 퇴각

제121~44장 크세륵세스 퇴각 후 양측의 상황   849
   제121~25장 그리스인의 감사 제물과 논공행상
   제126~29장 아르타바조스의 행적
   제130~32장 양측 해군의 상황
   제133~35장 마르도니오스의 신탁 문의
   제136~44장 알렉산드로스의 아테네 회유와 아테네의 거부

제9권

제1~24장 마르도니오스 군대의 재진격과 그리스인의 대응   867
   제1~11장 페르시아군의 아테네 재점령과 스파르타군의 출정
   제12~18장 페르시아군이 아테네에서 테바이로 물러남
   제19~24장 그리스군이 페르시아 기병 격퇴

제25~89장 플라타이아 전투   879
   제25~32장 그리스군의 플라타이아 진군. 그리스군과 페르시아군의 전열 구성
   제33~40장 양측의 희생제식과 소극적 태도
   제41~45장 마르도니오스의 전투 결정과 알렉산드로스의 제보
   제46~57장 페르시아 기병의 공격과 그리스군의 진지 이동
   제58~75장 플라타이아 전투와 그리스군의 승리
   제76~85장 전투 후 그리스인들의 상황과 전리품 분배
   제86~89장 그리스인들의 테바이 응징과 아르타바조스의 퇴각

제90~107장 미칼레 전투   921
   제90~101장 그리스군의 이오니아행(行) 항해와 미칼레 상륙
   제102~05장 미칼레 전투와 그리스군의 승리
   제106~07장 전투 후 양측의 상황

제108~13장 크세륵세스의 연애 행각과  마시스테스의 반란   932

제114~22장 그리스군의 세스토스 점령과 아르타익테스의 죽음   936

고대 지중해 세계 연표   942
도량형 및 화폐 단위   945
참고문헌   947
찾아보기   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