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5
헌사 ● 9
약어목록 ● 13
제 1 장 도입 ● 15
제 2 장 텍스트 (재)생산으로서의 번역 ● 25
2.1 이론적 배경 ● 25
2.2 번역 역량, 능력, 전문지식 ● 27
2.3 번역 업무 수행 ● 38
2.4 번역과정의 텍스트 ● 55
2.5 연구 설계 ● 87
제 3 장 연구방법 및 데이터 ● 91
3.1 방법론적 고려사항 ● 91
3.2 동시발화 또는 TAP ● 95
3.3 쓰기 과정의 컴퓨터 로깅 ● 103
3.4 연구 데이터 ● 105
3.5 코딩, 데이터 분석, 결과 보고 ● 113
제 4 장 번역 업무 수행 ● 117
4.1 연구문제 ● 117
4.2 업무 수행: 시간적 특징 ● 118
4.3 업무의 초기 계획 ● 122
4.4 쓰기 과정의 분절2) ● 129
4.5 교정- TT 평가 및 변경 ● 141
4.6 요약 및 결론 ● 172
제 5 장 번역과정의 명시화 ● 197
5.1 연구문제, 데이터, 연구방법 ● 197
5.2 러시아어 및 스웨덴어의 텍스트 연결어 ● 201
5.3 ST의 함축적 순접 ● 219
5.4 ST의 함축적 대조 관계 ● 235
5.5 시간 및 인과 연결 ● 258
5.6 요약 및 결론 ● 275
제 6 장 요약 및 함의 논의 ● 287
6.1 요약 ● 287
6.2 번역과정의 전문지식 ● 288
6.3 명시화는 번역 보편소인가? ● 295
6.4 결과의 유효성 및 일반화 가능성 ● 299
6.5 번역 교육에의 함의 ● 303
참고문헌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