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농암집 : 조선의 학술과 문화를 평하다 / 김창협 지음 ;송혁기 옮김
농암집 : 조선의 학술과 문화를 평하다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농암집 : 조선의 학술과 문화를 평하다 / 김창협 지음 ;송혁기 옮김
  •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고전번역원, 2016
  • ·형태사항 337 p. ;20 cm
  • ·총서사항 (한국고전선집)
  • ·주기사항 감수: 최채기
    한자를 한글로 번역
    참고문헌과 연보수록
    교육부로부터 인문학 진흥을 위한 저서출판지원을 받아 출간하였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28404100  04080: \1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819  듀이십진분류법-> 895.708  
  • ·주제명 한문 문집[漢文文集]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김창협 지음 ;송혁기 옮김 2016 SE0000265776 정책 810.819-16-5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한국고전선집을 펴내며 4
김창협은 누구인가 13
제 1 장 학문의 길 위에 서다
어린 날의 추억, 해주 25
나의 스승 정관재 28
책선(責善)해 주는 벗이 있어 33
시험에 떨어진 동생에게 37
성악설 비판 41
금강산 유람기 48
도봉서원에서 우암의 시에 차운하다 58
제 2 장 은거를 마음먹다
월출산 구정봉에 오르다 63
애틋한 마음 나눌 형제들이 있어 66
얼음 뜨는 노래 68
환경을 탓할 것인가 환경을 바꿀 것인가 71
험한 산골에 사는 이유 75
고을살이는 거문고 연주와 같으니 77
고관 자제의 곤궁한 은거 82
나귀 빌려주어 고맙네 89
자신의 깨달음이 없으면 93
은거의 자세 97
제 3 장 의리로 세상을 논하다
나의 수명 덜어서라도 꽃다운 너의 생을 이어 줄 수 있다면 105
솜씨 좋은 대장장이의 자식이 가죽옷도 잘 만든다 112
어른이 된다는 것 116
의문 없이는 학문도 없음을 왕에게 가르치다 121
역졸 아이 녀석의 풍류 125
시다운 시란 무엇인가 126
변방에서 130
약소국의 살 길 132
왕의 잘못을 지적하다 140
한가위 달빛 아래 작은 배에 누워서 150
어리석은 뒷집 부인의 충고 152
제 4 장 아버지와 스승의 죽음을 겪다
어느 달 밝은 밤 흥에 겨워서 157
스승을 위하는 마음과 공정한 판단 159
아버지의 묘표를 스승에게 부탁하다 164
마음을 잠재우다 172
폭포를 찾아서 178
풍경이 되어 버린 사람, 사람으로 완성되는 풍경 183
꼼꼼한 『논어』 읽기 189
좋은 문학이란 무엇인가 198
벼슬할 수 없는 이유 208
아버지 대신 지은 동생의 묘지명 214
절교를 선언하다 220
제 5 장 학문을 논하고 문학을 평하다
하나뿐인 스승으로서 내 어이 자넬 잊겠는가 227
성정과 천기로 지은 시 236
요절한 젊은이와 외로운 노인을 위하여 240
지(智)와 지각(知覺)은 어떻게 다른가 245
조선의 문장을 평하다 250
눈 오는 밤 산사에서의 약속 255
맑은 밤 밝은 달의 즐거움을 누리려면 259
제 6 장 시련 속에서 학문을 꽃피우다
조선 시대 여성으로 산다는 것 265
시 벗 아들을 잃다 272
둘째 딸마저 연이어 잃다 278
퇴계와 율곡을 넘어서 사단과 칠정을 논하다 283
청의 지배와 중화 문명 292
슬픔의 금강산 297
조선의 학자를 평하다 301
화창한 봄날 병상의 와유 306
병든 몸에 쌓이는 글 빚 309
제 7 장 학문과 문장으로 일가를 이루다
졸기 317
학문 320
문장 323
연보 328
참고 문헌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