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제주도방언의 어휘 연구 / 지은이 : 김순자
제주도방언의 어휘 연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제주도방언의 어휘 연구 / 지은이 : 김순자
  • ·발행사항 서울 : 박이정, 2014
  • ·형태사항 312 p. :삽화 ;24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p. 301-305)과 색인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2927580  93710 : \1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718.99  듀이십진분류법-> 495.77  
  • ·주제명 어휘 분석[語彙分析]제주도 사투리[濟州道--]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김순자 2014 SE0000160515 718.99-15-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김순자 2014 SE0000189208 718.99-15-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제주도방언과 제주바다
제1장 제주바다의 소라ㆍ고둥ㆍ전복 이름
1. 머리말
2. 소라ㆍ고둥ㆍ전복 이름
3. 소라ㆍ고둥ㆍ전복 이름 관련 언중 의식
4. 맺음말
제2장 제주도방언의 어류 명칭
1. 머리말
2. 제주도방언의 어류 명칭
3. 어종에 따른 명칭 분류
4. 맺음말
제주도방언의 어류 명칭
제3장 제주도 부속 섬 방언의 어휘 비교 연구 ? 우도ㆍ비양도ㆍ가파도를 대상으로 -
1. 머리말
2. 제주도 세 부속 섬의 인문 자연환경
3. 제주도 세 부속 섬의 어휘 분포 비교
4. 제주도 부속 섬의 어휘 특징
5. 맺음말
제4장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  ?우도ㆍ비양도ㆍ가파도ㆍ마라도의 어촌생활어를 대상으로?
1. 머리말
2. 제주도 도서지역의 항목별로 조사된 어휘
3. 제주도 도서지역의 어촌생활어 생태 지수
4. 맺음말
생태 지수 조사 설문지에 따른 지역별 조사 어휘
제주도 도서지역의 어촌생활어 생태지수 조사 종합 분석표
제2부 제주도방언과 제주문화
제1장 ‘선문대할망’과 그 別稱
1. 머리말
2. ‘선문대할망’ 이름
3. ‘선문대할망’ 이름 고찰
4. 맺음말
제2장 제주의 떡 이름
1. 머리말
2. 자료 속의 제주의 떡
3. 제주 떡의 분류
4. 마을별로 살펴본 제주의 떡
5. 제주 떡에 얽힌 민속
6. 맺음말
제3장 제주도 ‘구덕’과 ‘차롱’ 이름
1. 머리말
2. 제주도 ‘구덕’ 이름
3. 제주도 ‘차롱’ 이름
4. 맺음말
제4장 제주도방언의 김치 명칭과 특징 연구
1. 머리말
2. ‘김치’의 어원에 대한 재해석
3. ‘제주도 김치’의 종류별 명칭과 특징
4. 맺음말
제3부 제주학 정립을 위한 용어 몇 가지
제1장 지명-한라산, 영실, 천지연(天池淵), 선흘곶
1. 한라산
2. 영실
3. 천지연(天池淵)
4. 선흘곶
제2장 구비전승-선문대할망, 이여도, 잠녀
1. 선문대할망
2. 이여도
3. 잠녀
제3장 관념어-서귀포칠십리, 여다(女多), 육지, 중산간
1. 서귀포칠십리
2. 여다(女多)
3. 육지
4. 중산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