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인과 영어 : 한국인은 왜 영어를 숭배하는가 / 강준만 지음
한국인과 영어 : 한국인은 왜 영어를 숭배하는가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인과 영어 : 한국인은 왜 영어를 숭배하는가 / 강준만 지음
  • ·발행사항 서울 : 인물과사상사, 2014
  • ·형태사항 277 p. :삽화, 초상 ;23 cm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062546  03300 : \14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1.5  듀이십진분류법-> 306.4  
  • ·주제명 사회 현상[社會現象]영어 교육[英語敎育]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강준만 지음 2014 SE0000097239 331.5-14-50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강준만 지음 2014 SE0000101252 331.5-14-50=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한국인의 영어 전쟁 ㆍ5

제1장 영어는 처음부터 ‘권력’이었다 : 개화기~일제강점기
1816년 최초의 영어 교육 ㆍ17 김대건, 최한기, 개신교 선교사들 ㆍ19 ‘영어 천재’ 윤치호 ㆍ22 1883년 보빙사 미국 파견 ㆍ23 알렌·아펜젤러·언더우드의 입국 ㆍ26 육영공원·배재학당·이화학당 개교 ㆍ28 1888년 주미 한국공관 설립 ㆍ31 영어로 출세한 이하영과 이완용 ㆍ33 배재학당의 영어 교육 ㆍ35 ‘영어의 달인’ 이승만 ㆍ37 출세 도구로서의 영어 ㆍ39 『대한매일신보』의 활약 ㆍ43 이상설의 영어와 이완용의 영어 ㆍ44 ‘삼인칭’의 뜻을 알게 된 양주동의 ‘미칠 듯한 기쁨’ ㆍ46 『동아일보』·『조선일보』의 영문란 설치 ㆍ48 “이제 영어 모르면 패배자됩니다” ㆍ50 사교권 장악 수단으로서의 영어 ㆍ52 진주만 폭격 이후 영어는 복음의 소리 ㆍ53

제2장 영어는 ‘시대정신’이었다 : 해방 정국~1950년대
해방 정국의 공용어가 된 영어 ㆍ59 ‘통역정치’의 전성시대 ㆍ61 영어는 최대의 생존 무기 ㆍ64 ‘사바사바’의 성행 ㆍ66 6·25전쟁과 영어 ㆍ67 ‘샌프란시스코’는 마력적인 상징 ㆍ70 미국 지향성은 시대정신 ㆍ72 AFKN과 YMCA의 활약 ㆍ75

제3장 영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였다 : 1960~1980년대
미군과 영어로 통해야 권력을 잡는다 ㆍ79 “조국을 버린 자들”? ㆍ81 수출 전쟁 체제하에서의 영어 ㆍ84 박정희의 ‘문화적 민족주의’ ㆍ87 1970년대의 ‘조기 영어 교육’ 논쟁 ㆍ89 “빠를수록 좋다” VS “주체적 인간” ㆍ90 영어는 ‘선택’이 아닌 ‘필수’ ㆍ92

제4장 세계화 시대에 영어 광풍이 불다 : 1990년대
‘영어 격차’의 소외감 ㆍ99 조기 유학 붐 ㆍ102 〈톰과 제리〉논쟁 ㆍ104 국제화 바람 ㆍ106 어머니 90퍼센트가 찬성한 조기 영어 교육 ㆍ108 세계화 바람 ㆍ111 ‘카투사 고시’와 ‘토익 신드롬’ ㆍ114 ‘바람난 조기 영어 교육’ ㆍ117 “이대 신방과 94학번들이 절반도 안 남은 까닭은” ㆍ119 세계화의 파국적 결과 ㆍ121 복거일의 영어 공용화론 ㆍ123 박노자의 ‘영어 공용화론의 망상’ ㆍ125 기업이 선도한 ‘영어 열풍’ ㆍ126

제5장 “한국에서 영어는 국가적 종교다” : 2000~2002년
“토플과 토익만 잘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 ㆍ133 “영어 하나만 제대로 배워오면 성공이지요” ㆍ135 “민족주의자들이여! 당신네 자식이 선택하게 하라” ㆍ137 ‘영어 자본-영어 권력 시대’ ㆍ139 영어와 대중문화 ㆍ141 “영어! 영어! 영어!……요람에서 무덤까지 ‘영어 스트레스’” ㆍ144 ‘영어 열풍 이렇게 본다’ ㆍ147 영어 시장은 연간 4~5조 원 규모 ㆍ149 “한국 영어 배우기 국가적 종교방불” ㆍ151 ‘우리에게 영어는 무엇인가’ ㆍ154 토익 산업의 팽창 ㆍ155

제6장 영어, 정치와 유착하다 : 2003~2007년
영어캠프·영어마을 붐 ㆍ149 거리로까지 뛰쳐나간 영어 ㆍ163 ‘대한민국은 그들의 천국인가?’ ㆍ166 ‘영어가 권력이다’ ㆍ169 ‘2006, 대한민국 영어 보고서’ ㆍ171 ‘영어 인증 시험 열풍’ ㆍ173 계속되는 ‘토플 대란’ ㆍ176 ‘영어에 홀린 한국’ ㆍ178 ‘스파르타식 학원 성황’ ㆍ181 ‘영어 사교육 부추기는 빗나간 대선 공약’ ㆍ183

제7장 ‘영어 망국론’이 등장하다 : 2008~2014년
영어로 회의하는 ‘뚱딴지’ 서초구청 ㆍ189 “영어 잘하면 군대 안 간다” ㆍ191 ‘오렌지와 아린지’ 파동 ㆍ194 ‘신해철’인가, ‘박진영’인가 ㆍ196 영어 몰입교육 파동 ㆍ198 ‘영어 망국론’ ㆍ200 “한국에선 영어가 ‘종교’나 다름없죠” ㆍ202 ‘영어에 미친 나라’ ㆍ205 ‘복지 예산 깎아 영어 교육’ ㆍ208 “영어가 입에 붙은‘아륀지 정권’” ㆍ210 “영어에 ‘고문’ 당하는 사회” ㆍ212 ‘토익 계급사회’ ㆍ215 ‘공포 마케팅’과 ‘탐욕 마케팅’ ㆍ218 ‘근본적 개선 방안’이 존재할 수 있는가? ㆍ221

맺는말 영어 광풍에 너그러워지자
근본적 개선 방안은 있을 수 없다! ㆍ225 ‘이웃 효과’와 ‘서열주의’ ㆍ228 ‘영어 광풍’의 기회비용 ㆍ230 “영어 교육, 진보의 콤플렉스를 깨라” ㆍ233 ‘SKY 소수 정예화’는 안 되는가? ㆍ235 진보적 근본주의자들의 보수주의 ㆍ237 삼성 입사 경쟁이 치열해지면 안 되는가? ㆍ239 ‘학벌 공정거래법’은 안 되는가? ㆍ241 학벌주의를 긍정하는 언론의 보도 프레임 ㆍ243 학벌만 좋은 ‘천민 엘리트’ ㆍ246 진정한 경쟁을 위해 ㆍ249

주 ㆍ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