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현실인식 / 지은이 : 변은진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현실인식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현실인식 / 지은이 : 변은진
  •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3
  • ·형태사항 581 p. ;24 cm
  • ·총서사항 (현대사 총서 ;039)
  • ·주기사항 참고문헌(p. 547-559)과 색인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9336050  93910: \45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066  듀이십진분류법-> 951.903  
  • ·주제명 파시즘[fascism]항일 운동[抗日運動]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변은진 2013 SE0000036225 911.066-13-5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17
1. 왜 일제 전시파시즘기인가  17
2. 이 시기 민중의 경험·인식 연구의 중요성  24
3. 책의 구성, 기타  29

Ⅰ. 일제의 전시파시즘과 조선인 동원의식 만들기  37
1. 식민지 전시파시즘과 일본식 동화주의의 한계  37
2. 전시파시즘기의 일반 사상·여론정책  49
  1) 일제의 ‘사상전’과 사상통제의 강화 49
  2) 정보위원회 등을 통한 여론통제 60
  3) 시국좌담회 등을 통한 여론의 수집과 조성 71
3. 언론매체의 현황과 선전정책  76
4. 국경 등 특수지대의 사상·선전정책  90
【소결】  98

Ⅱ. 전시 통제·동원정책 강화와 계층별 불만 고조  103
1. 청년학생층에 대한 통제·동원의 강화와 불만  103
  1) 관제청년조직의 강화 103
  2) 학교교육 및 학생지도의 파쇼화 109
  3) 청년 군사동원의 실상 120
  4) 각종 차별정책으로 인한 불만 고조 131
2. 노동력 강제동원과 노동자층의 불만  141
  1) 조선 내 노동자층의 처지와 불만 141
  2) 일본 내 조선인 노동자층의 처지와 불만 149
  3) 일제 측이 바라 본 강제동원 ‘노무자’ 155
3. 농민 등 소부르주아지층의 처지와 불만  160
  1) 각종 통제정책으로 인한 농민층의 불만 160
  2) 중소상공업자, 하급공무원 등의 불만 171
【소결】  179

Ⅲ. 민중저항의 양상과 성격  183
1. 민중저항에 영향을 준 외적 요소  183
  1) 항일운동진영의 정세관과 독립방략의 통일 183
  2) 항일운동세력과 외국 첩보활동의 영향 199
2. 전시유언비어 등 ‘불온언동’의 만연  209
  1) ‘불온언동’의 범위와 당국의 대책 209
  2) 전시파시즘기 유언비어의 추세와 성격 215
  3) 유언비어를 통한 민족적 위기담론과 희망담론 221
3. ‘불온낙서’의 확산  230
  1) 전시파시즘기 ‘불온낙서’의 추세 230
  2) 조선민중의 ‘불온낙서’ 현황 236
  3) ‘불온낙서’의 내용과 성격 252
4. 각종 ‘불온문서’의 증가  263
  1) ‘불온문서’의 의미와 성격 263
  2) ‘불온’ 삐라·격문 배포 265
  3) ‘불온’ 투서·편지 발송  273
5. 통제와 동원에 대한 청년학생층의 저항  283
  1) 조선인 군사동원을 둘러싼 일본 측 입장 283
  2) 군사동원에 대한 조선청년의 대응 292
  3) 학생 맹휴의 추세 303
6. 노동자층의 군수생산력 저하·파괴운동  313
  1) 태업 등의 만연과 군수생산력 파괴운동 313
  2) ‘도주’의 일상화와 그 성격 320
  3) 강제동원 노동자의 항일운동 참여 329
【소결】  333

Ⅳ. 전쟁추이에 따른 전쟁인식 변화와 세대별 비교  341
1. 중일전쟁과 ‘일제패망인식’의 대두  343
  1) 전쟁의 개시와 조선민중의 반응 343
  2) 전쟁의 원인과 성격, 상황에 대한 이해 347
  3) 전쟁의 결과에 대한 예견 355
2. 장고봉사건과 ‘일제패망인식’의 심화  358
  1) 사건과 조선민중의 반응 358
  2) 사건에 대한 이해와 패망인식의 구체화 363
3. 태평양전쟁과 ‘일제패망인식’의 확산  374
  1) 삼국동맹과 독소전쟁의 영향 374
  2) 태평양전쟁에 대한 이해와 패망인식의 확산 381
  3) 패전국면에 대한 이해와 미·소 인식 390
4. 세대별 전쟁인식 및 저항의식 비교  400
  1) 현실인식 형성의 세대별 조건 차이 400
  2) 강제병합 이전 출생한 기성세대의 인식 412
  3) 강제병합 이후 출생한 청년세대의 인식 417
【소결】  423

Ⅴ. 식민통치와 항일운동에 대한 인식  427
1. 일제의 식민통치 논리에 대한 인식  427
  1) ‘천황’과 천황제에 대한 인식 427
  2) ‘내선일체’를 통한 통치논리의 허구성에 대한 인식  435
2. 일제의 식민통치정책에 대한 인식  442
  1) 전시수탈정책과 통제경제에 대한 인식 442
  2) 사회·문화정책에 대한 인식과 ‘조선문화 향상’ 중시 447
3. 해외 항일운동세력에 대한 인식  453
  1) 김일성 중심의 만주지역 항일운동에 대한 인식 453
  2) ‘김일성 신화’의 형성과 본질 461
  3) 임시정부 중심의 중국관내 항일운동에 대한 인식 466
  4) 이승만 중심의 미주지역 항일운동에 대한 인식 468
4. 과거 항일운동에 대한 평가와 당대 인식  471
  1) 과거 항일운동에 대한 평가 471
  2) 민족적 ‘영웅’ 출현에 대한 희구 475
  3) 이광수 등 ‘친일화’ 경향에 대한 인식의 착종 479
【소결】  483

Ⅵ. 민중의 현실인식·저항의식의 성격과 한계  487
1. 사상적 영향의 다양화와 극복 노력  487
  1) 각종 사상과 종교의 영향 487
  2) 파시즘적 언설들의 영향 497
  3) 극복을 위한 노력과 그 의미 505
2. 민중적·민족적 성격의 강조와 한계  509
  1) 실력양성·민중계몽의 강조와 한계 509
  2) 역사적 전통과 고유문화에 기반한 민족주의적 성격 514
  3) 극단화된 국가주의·국수주의적 경향 523
【소결】  531

맺음말 - 전시파시즘기 민중경험이 8·15 이후 대중의식에 미친 영향 (‘전체주의적’ 민족의식의 근대적 기원)  535

참고문헌 / 547
찾아보기 / 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