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국문화를 꿈꾸다 : 인문과 예술 / 지은이 : 이화형
한국문화를 꿈꾸다 : 인문과 예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국문화를 꿈꾸다 : 인문과 예술 / 지은이 : 이화형
  • ·발행사항 서울 : 푸른사상사, 2011
  • ·형태사항 485 p. :삽화(일부천연색), 초상 ;23 cm
  • ·총서사항 (한국문화연구 총서 ;1)
  • ·주기사항 참고문헌(p. 429-434)과 색인수록
    권말부록: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등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6408002  93300: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911  듀이십진분류법-> 951.9  
  • ·주제명 한국 문화[韓國文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이화형 2011 SE0000035597 911-13-24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머리말

제1부 인문-이성과 사고

제1장 직필을 가장 중시한, 역사

1. 동아시아 역사전쟁
2. 미래의 전망, 과거 지식에 비례
3. 직필을 가장 중시한, 한민족
4. 우리의 역사가 필요, 삼국사기·삼국유사
5. 사실 대로 적자, 고려사·고려사절요
6.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
7. 이규보의 역사관은 무엇인가
8. 고려사를 왜 썼는가
9. 조선후기 사관은 어떻게 달라졌나
10. 찬란한 발해의 역사가 어디갔는가

제2장 인륜을 핵심 가치로 삼은, 교육

1. 오바마, 한국 학교를 배워라
2. 현실을 고양시키는, 전인교육 절실
3. 국가존립의 근본은, 선비정신
4. 선비의 자질요건
5. 학교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6. 지방마다 향교를 세우다
7. 서원이 독자적으로 설립되다
8. 정치화된 조선서원, 교육중심의 중국서원
9. 면장·동장이 학교를 세우다
10. 교육의 목표는, 오륜을 밝히는 것이다
11. 여성 학교교육은, 1886년에야
12. 내훈과 여성교육서
13. 여성, 자녀교육의 책임자
14. 어린이에게 무얼 가르쳤나
15. 서당에서 사용한 교재는 무엇이었나
16. 인성교육에 올인하다
17. 항일 및 구국에 앞장섰던, 서당
18. 부모의 사랑, 자식의 효도보다 먼저
19. 엄격한 교육은 참사랑의 기본
20. 조상매와 서당비

제3장 세계적인 문자로서의, 한글

1. 세종의 애민정신과 국보 1호감
2. 문자혁명을 이룬, 세종의 집념
3. 문화사적으로 빛나는, 훈민정음(한글)
4. 정보화시대의 세계적 문자, 한글
5. 세계기록유산, 훈민정음 해례
6. 국어학 발전에 크게 공헌한, 최세진
7. 한글전용을 주장했던, 주시경
8. 대표적 연구업적, 국어문법

제4장 독자적 품격으로서의, 철학

1. 철학의 진수, 한국문화 속에 있다
2. 유학의 한국유입
3. 유학의 사회적 확산
4. 유학의 심화 및 학파 형성
5. 유학의 새로운 변모
6. 유학, 국가구원의 초석
7. 중국의 공자 부활
8. 일본에 전파한, 한국불교
9. 신라통일의 밑거름이 된, 불교
10. 불교 통합을 이룬 국사, 지눌
11. 국난 극복의 원동력, 팔만대장경
12. 조선인의 가슴에 살아 있는, 불교
13. 세계로 향하는, 한국의 선불교
14. 절에서 서학을 공부하다
15. 유학자들이 천주교를 받아들이다
16. 천주교 탄압이 시작되다
17. 비공입회수(鼻孔入灰水)의 물고문
18. 서원창설의 선구자, 이황
19. 조선유학을 독자적인 경지로
20. 21세기의 희망이 된, 이황
21. 원효의, 자유와 평등
22. 근본은 하나, 일심사상
23. 세계문화의 중심에 선, 원효
24. 1급 천주교박해문화재, 황사영백서
25. 여인들을 벌거벗기고, 8000여 명을 학살하다
26. 죽음을 통한 선교, 정하상

제2부 예술-감성과 표현

제1장 성품을 바르게 하는, 문학

1. 문학은 밥이요, 도를 싣는 그릇
2. 한국문학의 역사성
3. 민족의 시가문학, 시조와 가사
4. 의식의 확장과 산문의 도래
5. 박지원과 그의 소설
6. 한국문학의 근대화
7. 진정 멋스러웠던, 황진이
8. 자연의 순수를 우리의 고운말로, 윤선도
9. 가사문학의 최고봉, 정철
10. 불우한 조선의 여인, 허난설헌 
11. 거리에서 능지처참된, 허균
12. 이상사회 건설의, 홍길동전
13. 나와 친정 집안은 억울하다, 혜경궁 홍씨
14. 궁중 비사의 대하드라마, 한중록

제2장 예(禮)는 보완하는, 음악

1. 국악은, 우리의 희망이다
2. 예의를 보완해주는, 음악
3. 자연스런 소리, 한국음악
4. 일본 아악의 아버지, 백제 미마지
5. 아악·당악·향악의 확립
6. 세종, 궁중의식에 우리 고유음악 사용
7. 국악 발전에 기여한, 맹사성과 박연
8. 한국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9. 아악의 운명과 당악의 한국화
10. 정악이란, 왕실 및 사대부들의 음악
11. 국제적으로 호평 받는 음악예술, 정악
12. 가장 한국적인 문화예술, 춤
13. 고려사악지 속의, 삼국·고려 음악
14. 최초의 우리 음악책, 악학궤범

제3장 순수를 지향하는, 미술

1. 기교가 없는, 한국 미술
2. 장승업, 칸영화제에서 다시 태어나다
3. 역동과 열정의, 고분과 벽화
4. 백제미술의 걸작, 금동(용봉)대향로·서산마애삼존불
5. 세계인들이 찬탄하는,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6. 조형 건축예술의 극치, 석굴암
7. 범종의 비천상과, 김생의 글씨
8. 선묘의 사랑을 간직한 부석사와, 불상·불화
9. 황제가 칭찬한 이녕, 조맹부를 능가한 이암
10. 자연이 빚은, 조선백자
11. 세계적으로 소박하고 아름다운, 창덕궁
12. 세계문화유산, 조선왕릉과 종묘
13. 안견을 비롯한 조선전기 화가들
14. 진경산수화의 대가, 정선·강세황
15. 질박하고 해학적인 김홍도, 세련되고 육감적인 신윤복
16. 얼굴 자체에 비중을 두었던, 인물화
17. 한국적 서체(옥동체)의, 이서
18. 독보적인 추사체의, 김정희

참고문헌

부록
1.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2. 한국문화 관련기관
3. 한국문화 현장 유형별 실례
4. 한국문화 관련 대학 및 대학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