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2,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인프라현황 및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책임연구원 : 최은진 ;공동연구원 : 김미숙,이명수,윤명주,정지원.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인프라현황 및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2,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인프라현황 및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책임연구원 : 최은진 ;공동연구원 : 김미숙,이명수,윤명주,정지원. /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 ·형태사항 xix, 135 p. :도표 ;26 cm
  • ·총서사항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2-21-03)(연구보고 ;12-R15-2)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31-135
    영어 요약 있음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78166423 (2)  9433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34.3  듀이십진분류법-> 362.7  
  • ·주제명 정신 건강[精神健康]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2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인프라현황 및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책임연구원: 최은진 ;공동연구원: 김미숙,이명수,윤명주,정지원. 2012 SE0000001459 정책 334.3-13-12-2 정책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용성 및 목적
1) 배경
2) 정신건강 고위험 청소년 현황
3) 법 제도 현황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주요 연구내용
2)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인프라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범위
3) 연구방법
3. 기대효과

Ⅱ.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서비스 개념 고찰
1. 정신건강 증진 지원서비스의 정의와 접근방법
2.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 인프라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원리
3. 소결

Ⅲ. 지역사회 아동 청소년 정신보건센터의 인프라 구축 현황 및 서비스 전달 체계
1. 법, 제도 및 정부 지침현황
1)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법률
2) 정신건강 관련 정부지침 현황
2. 거버넌스와 조직운영체계 현황
1) 거버넌스
2) 정신보건센터의 조직, 예산 및 인력 투입 현황
3. 서비스 제공 현황
1)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문제 및 정신장애 개입 범주
2) 국내 아동 청소년 정신보건 서비스 등록 대상자 현황
3) 서울시 아동 청소년 정신보건 서비스 제공 현황
4. 소결
1) 중앙 거버넌스의 협력 체계 구축
2) 정신보건센터의 서비스 대상, 컨텐츠 및 목표설정의 구체화
3) 공공서비스 총량 및 기관 서비스 총량 설정
4)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및 확충
5) school mental health의 강화, 그리고 전문화된 정신보건 서비스와의 협력
6) 지역사회 아동 청소년 정신보건사업의 모형 개발 및 추진기반의 조성
 
Ⅳ. 외국의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인프라 및 서비스 전달체계
1. 미국
1) 관련 인프라 및 서비스
2) 예산의 운용
3) 정신건강문제의 동향
2. 호주
1) 관련 인프라 및 서비스
2) 예산의 운용
3. 영국
1) 인프라 및 서비스
2) 예산의 운용
3)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정책 특성과 인프라
4) 아동조기개입 및 서비스 전달체계: Sure Start
4. 소결

Ⅴ.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인프라 및 서비스 전달체계 현황
1. Wee 사업
1) 배경
2) 인프라
3) 한계 및 개선방향
2. 드림스타트
1) 관련법 
2) 서비스 전달체계
3) 인력
4) 프로그램
5) 한계 및 개선방향
3. 지역사회청소년 통합지원체계
1) 관련법
2) 전달체계
3) 인력
4) 프로그램
5) 한계 및 개선방향
4. 지역아동센터
1) 관련법
2) 전달체계
3) 인력
4) 프로그램
5) 한계 및 개선방향
5.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1) 관련법
2) 전달체계
3) 인력
4) 프로그램
5) 한계 및 개선방향
6. 사회복지관
1) 관련법
2) 전달체계
3) 프로그램
4) 한계 및 개선방향
7. 아동자립지원사업
1) 관련법
2) 전달체계
3) 인력
4) 프로그램
5) 한계 및 개선방향
8. 보호관찰소
1) 관련법
2) 전달체계
3) 인력
4) 프로그램
5) 한계 및 개선방향

Ⅵ. 서비스 이용자 및 제공자 측면의 개선과제
1. 서비스 개선을 위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1) 포커스 그룹 인터뷰 개요
2) 포커스 그룹 인터뷰 조사결과
2. 서비스 개선에 관한 델파이 조사
1) 조사개요
2) 서비스 공급자 및 전문가 델파이 조사 결과
3. 소결

Ⅶ.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과제
1) 정신건강 증진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인프라개선 정책과제
2) 우리나라 정신보건 인프라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