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기타

  • 홈으로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교과서에서 찾아낸 3학년 상식 / 글 : 양대승 ;그림 : 이동훈
교과서에서 찾아낸 3학년 상식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교과서에서 찾아낸 3학년 상식 / 글 : 양대승 ;그림 : 이동훈
  • ·판사항 개정판
  • ·발행사항 서울 : 계림북스, 2012
  • ·형태사항 160 p. :천연색삽화 ;24 cm
  • ·총서사항 (이거 알아?)
  •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3314139  73030: \8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031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글: 양대승 ;그림: 이동훈 2012 SJ0000000148 아 031-13-89 어린이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Q01 전화를 받으면 왜 ‘여보세요’라고 말할까?   
Q02 하늘로 높이 올라갈수록 태양과 가까워지는데 왜 기온은 낮아질까?   
Q03 곤충이나 동물을 잡아먹는 식물이 있을까?  
Q04 나침반의 빨간 바늘이 항상 북쪽을 가리키는 이유는 뭘까?  
Q05 동양의 용과 서양의 드래곤은 어떻게 다를까?  
Q06 암행어사들이 들고 다니는 마패에는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  
Q07 북한의 국가도 우리나라(남한)의 애국가와 같을까?   
Q08 산성비를 맞으면 머리가 빠질까?    
Q09 우리는 왜 엄마와 아빠를 닮을까?  
Q10 ‘도루묵’이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  
Q11 우리나라 이름은 대한민국인데 왜 영어로는 ‘코리아’라고 할까?  
Q12 악어새는 악어의 입속에서 무엇을 할까?  
Q13 치약은 무엇으로 만들까?  
Q14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계산할 때 기계로 찍는 것은 무엇일까?  
Q15 벌집은 왜 정육각형일까?  
Q16 구름에도 이름이 있을까?  
Q17 거북과 자라는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Q18 한글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Q19 세종 대왕이 처음 글자를 만들었을 때부터 ‘한글’이라고 했을까?   
Q20 밀물과 썰물은 왜 생길까?  
Q21 아리랑의 종류는 몇 가지나 될까?   
Q22 ‘뽐내다’라는 말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Q23 말에 관한 속담은 무엇이 있을까?  
Q24 세계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우량계는 뭘까?  
Q25 조선 시대에도 지금과 같은 김치를 먹었을까?  
Q26 기온을 재는 백엽상은 왜 흰색일까?  
Q27 날씨는 무엇 때문에 변할까?  
Q28 옛날에도 휴일이 있었을까?  
Q29 나침반을 가장 먼저 발명한 나라는 어디일까?  
Q30 문화재를 국보, 보물, 사적 등으로 나누는 기준은 뭘까?  
Q31 우리 생활에서 자석을 이용해 만든 것은 무엇일까?  
Q32 공기는 어떤 기체들로 이루어져 있을까?   
Q33 바람이 세게 불면 왜 불을 끄기가 어려울까?   
Q34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자라는 나무는 뭘까?  
Q35 나침반이 없어도 방위를 알 수 있을까?  
Q36 전화 카드나 현금 카드에 자석을 가까이하면 안 되는 이유는 뭘까?  
Q37 오존층이 파괴되면 어떻게 될까?  
Q38 눈을 돋보기로 자세히 보면 어떤 모양일까?  
Q39 잠잘 때는 왜 눈을 감아야 할까?  
Q40 바닷물은 왜 파랗게 보일까?  
Q41 하품을 하면 왜 눈물이 나올까?  
Q42 북한의 국화는 뭘까?  
Q43 비누보다 합성 세제가 강과 바다를 더 오염시킬까?  
Q44 옛날에도 좌변기가 있었을까?  
Q45 ‘햇볕 정책’이란 무엇일까?  
Q46 달은 지구로부터 얼마나 멀고, 크기는 얼마나 될까?
Q47 의사들이 사용하는 청진기로는 무엇을 알 수 있을까?  
Q48 귀는 소리를 어떻게 들을까?  
Q49 나무의 나이테만 보고도 수백 년 전의 기후를 알 수 있을까?  
Q50 전구는 어떻게 빛을 낼까? 
Q51 시곗바늘은 왜 오른쪽으로 돌까?  
Q52 어떤 문화재가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것일까?  
Q53 솜사탕은 어떻게 만들까?  
Q54 농사는 언제부터 지었을까?   
Q55 ‘-쟁이’와 ‘-장이’는 어떻게 다를까?  
Q56 김정호는 그 옛날, 어떻게 지도를 만들었을까?  
Q57 미스터리 서클은 정말 외계인들이 만든 것일까?  
Q58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종이를 사용했을까?   
Q59 나이가 들면 왜 흰머리가 날까?  
Q60 중국에는 정말 우리나라에서 파는 자장면이 없을까?  
Q61 둥근 지구 아래쪽에서 사람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뭘까?    
Q62 컴퓨터는 언제 처음 만들어졌고, 크기는 어느 정도였을까?  
Q63 배는 바다에서 어떻게 길을 찾아다닐까?  
Q64 미용실도 ‘시장’이라고 하는 이유는 뭘까?  
Q65 지도는 누가 처음 만들었을까?  
Q66 사진은 얼마나 오래 보관할 수 있을까? 
Q67 제헌절이 법을 만든 날이라면, 그 전에는 법이 없었을까? 
Q68 가을과 봄 중 어느 때 햇볕이 더 따가울까? 
Q69 옛날 사람들은 지구를 어떤 모양으로 생각했을까? 
Q70 3ㆍ1 운동 때 민족 대표들은 어디에 있었을까?  
Q71 아래에서 위로 자라는 고드름도 있을까? 
Q72 옛날에는 무엇이 생일 케이크를 대신했을까? 
Q73 바닷물은 왜 마시면 안 될까? 
Q74 거울은 어떻게 만들까?  
Q75 태권도는 누가, 언제 만든 무술일까? 
Q76 박물관에서는 무슨 일을 할까? 
Q77 시각 장애인들은 어떻게 책을 읽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