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관광개발 성공했나? : 지자체의 과제 / 최승담 지음
관광개발 성공했나? : 지자체의 과제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관광개발 성공했나? : 지자체의 과제 / 최승담 지음
  • ·발행사항 파주 : 백산출판사, 2020
  • ·형태사항 373 p. :삽화, 도표 ;21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48-373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65670481  93320: \22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26.391  듀이십진분류법-> 338.4791  
  • ·주제명 관광 정책[觀光政策]관광 개발[觀光開發]지방 자치 단체[地方自治團體]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최승담 지음 2020 SE0000526422 326.391-20-1 일반자료실(2층) 대출 가능 0 - 인쇄자료(책자형) 
최승담 지음 2020 SE0000526423 326.391-20-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CHAPTER 01 관광개발 -13
Ⅰ 관광개발의 속성 -15
1. 관광개발은 왜 하나? -16
2.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배경은? -19
3.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수단은? -22
4. 어느 것이 더 환경친화적인가? -26
5. 생태관광개발, 면죄부인가? -30

Ⅱ 관광개발의 접근방식 -35
1. 내생적 개발인가, 외생적 개발인가? -36
2. 하향식 개발인가, 상향식 개발인가? -39
3. 균형 개발인가, 불균형개발인가? -42
4. 성장거점전략은 유효한가? -45
5. 자원과 시장, 어느 것이 우선인가? -51
6. 대안적 관광개발의 의미는? -55

Ⅲ 관광개발의 추진주체 -59
1. 관광개발은 누가 주도해야 하나? -60
2. 공공 관광개발의 문제는? -64
3. 민간은 왜 관광개발에 투자하나? -71
4. 디벨로퍼의 역할은? -74
5. 주민참여가 제 역할을 하려면? -78
6. 공익성과 수익성은 상충되나? -83


CHAPTER 02 관광개발계획 -87
Ⅰ 관광개발계획의 역할과 한계 -89
1. 공공계획의 속성은? -90
2. 절차적 계획이론이란? -92
3. 정책 집행의 수다능로서 계획의 역할은? -96
4. 지자체는 관광개발계획을 세워야 하나? -98
5. 공공이 관광개발계획을 작성하는 경우는? -100
6. 민간이 관광개발계획을 작성하는 경우는? -103
7. 관광개발계획은 무엇이 다른가? -105

Ⅱ 관광개발계획의 내용 -109
1. 계획에서 정책의지는 반영되어야 하나? -110
2. 계획은 수정되어야 하나? -114
3. 관광개발권 지정의 기준은? -117
4. 벤치마킹의 함정은? -120
5. 비용 · 편익 분석의 의미는? -123
6. 공공 관광개발계획 체크 포인트는? -127
7. 관광개발 계획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132

Ⅲ 관광개발계획과 수요 -137
1. 수요예측은 왜 틀리나? -138
2. 관광수요가 충족되지 않으면? -141
3. 계량적 수요예측의 의미는? -145
4. 관광지 생애주기를 반영해야 하나? -149
5. 수요예측에 암묵적 지식을 활용해도 되나? -154
6. 4차 산업혁명이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157


CHAPTER 03 도시 및 지역관광개발 -165
Ⅰ 도시관광개발 -167
1. 도시의 속성은? -168
2. 도시관광개발 활성화의 필요성은? -175
3. 도시관광개발의 특성은? -180
4. 도시관광개발 정책의 방향은? -185
5. 도시관광지구의 역할은? -190
6. 도시재개발 및 재생의 수단으로 관광은 유용한가? -194
7. 도시관광 재개발인가, 재생인가? -200
8. 도시관광개발이 잘못되면? -204

Ⅱ 지역관광개발 -209
1. 지역개발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210
2. 관광개발로 지역문제를 해결할 수 있나? -213
3. 지역관광개발 계획의 문제는? -216
4. 자원개발로 없던 수요를 새로 만들 수 있나? -219
5. 관광 허브(hub)는 어디에 입지해야 하나? -223
6. 지역문화를 소재로 한 테마파크 개발 가능한가? -226
7. 투자재원 조달의 핵심 원칙은? -229
8. 지역관광개발에서 제2종 오류는? -232
9. 갈등은 없어야 하나? -235
10. 지역의 역량이 강화되려면? -240

CHAPTER 04 관광개발정책 -245
1. 관광지개발은 공공이 주도해야 하나? -246
2. 관광단지는 허브(hub)의 역할을 하고 있나? -252
3. 관광특구제도는 계속 필요한가? -257
4.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는 정주인구를 창출할 수 있나? -263
5. 전문 컨벤션센터는 계속 건립되어야 하나? -267
6. 카지노 개발은 대세인가? -273
7. 축제의 양은 질의 전환을 가져왔나? -282
8. 농어촌 관광개발이 힘든 이유는? -288
9. 해양관광개발이 활성화되려면? -292
10. 관광거점도시의 의미는? -298
11. 관광권역과 광역권이 제 역할을 하려면? -302
12. 관광개발기본계획의 역할이 제고되려면? -307


CHAPTER 05 진단과 과제 -313
Ⅰ 진단 -315
1. 투자여건에 부응한 개발패러다임 미형성 -316
2, 정책의 거시성 및 통합성 결여 -318
3. 관광개발의 도시발전 기여도 미흡 -321
4. 지역관광개발 성과의 미흡 -322
5. 지자체 문화관광개발 성과 미흡 -324

Ⅱ 지자체의 과제 -325
1. 지자체의 역할 강화 및 발전적 개발패러다임의 구축 -326
2. 민간 역할의 강화 및 제도 개선 -332
3. 관광개발을 통한 도시 및 지역발전 도모 -335
4. 스마트 관광기반 확충 -340
5. 문화적 국토 조성 -344

 참고문헌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