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지역어문학 기반 국문학 연구의 도전과 성과 / 지은이 : 전남대학교 BK21플러스 지역어 기반 문화가치 창출 인재 양성 사업단,박수진,박은빈,백지민,신송,장람,진건화,김민지,문지환,염승한,임현,정도미,정미선
지역어문학 기반 국문학 연구의 도전과 성과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지역어문학 기반 국문학 연구의 도전과 성과 / 지은이 : 전남대학교 BK21플러스 지역어 기반 문화가치 창출 인재 양성 사업단,박수진,박은빈,백지민,신송,장람,진건화,김민지,문지환,염승한,임현,정도미,정미선
  • ·발행사항 파주 : 보고사, 2019
  • ·형태사항 325 p. ;24 cm
  • ·총서사항 (지역어와 문화가치 학술총서 ;7)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5169346  93810: \23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9  듀이십진분류법-> 895.709  
  • ·주제명 한국 고전 문학[韓國古典文學]한국 현대 문학[韓國現代文學]한국 문학 평론[韓國文學評論]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지은이: 전남대학교 BK21플러스 지역어 기반 문화가치 창출 인재 양성 사업단,박수진,박은빈,백지민,신송,장람,진건화,김민지,문지환,염승한,임현,정도미,정미선 2019 SE0000487071 810.9-19-23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지은이: 전남대학교 BK21플러스 지역어 기반 문화가치 창출 인재 양성 사업단,박수진,박은빈,백지민,신송,장람,진건화,김민지,문지환,염승한,임현,정도미,정미선 2019 SE0000487072 810.9-19-23=2 인문예술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서문-5
제1부 고전문학
  작품에 드러난 천관산의 인식과 문학적 형상 – 조선시대 유산문학을 중심으로 / 박수진-15
    1. 머리말-15
    2. 천관산 소재 문학 작품들-17
    3. '천관산(天冠山)'의 공간 인식 양상-20
    4. 맺음말-41
  〈경복궁가〉의 이본 양상 연구 / 박은빈-45
    1. 머리말-45
    2. 경복궁가의 이본 형성과정-48
    3. 경복궁가 이본 분석-51
    4. 이본을 통해본 경복궁가의 향유 형태-61
    5. 맺음말-63
  〈운영전〉의 악인 형상과 그 의미 / 백지민-67
    1. 논의 방향-67
    2. 성리학적 세계관과 〈운영전〉의 인물 형상-71
    3. 불온함의 미화를 위한 서사 전략-77
    4. 〈운영전〉의 악인 형상의 의미-90
    5. 결론-98
  19세기 연행가사에 나타난 연경 체험과 의의 -〈무자서행록〉,〈임자연행별곡〉,〈병인연행가〉를 대상으로 / 신송-103
    1. 들어가며-103
    2. 19세기 연행가사에 묘사된 연경의 모습-108
    3. 19세기 연행가사에 나타난 연경 체험-114
    4. 나가며-120
  황현의『집련(集聯)』에 수록된 사가(四家) 연구(聯句) 고찰 / 장람-123
    1. 머리말-123
    2. 황현의 작시관(作詩觀)-127
    3. 『집련(集聯)』에 수록된 사가 연구의 양상-132
    4. 맺음말-145
  〈은애전〉에 드러난 정조의 판결의도 고찰 -『심리록』을 바탕으로 하여 / 진건화-151
    1. 머리말-151
    2. 〈은애전〉의 사건 전개 및 구조-154
    3. 〈은애전〉에 드러난 정조의 판결-159
    4. 『심리록』에 드러난 정조의 판결의도-165
    5. 맺음말-172
제2부 현대문학
  장정일 시의 도시성읽기 / 김민지-177
    1. 서론-177
    2. 안과 밖의 도시 공간-180
    3. 상품과 인간의 욕망-187
    4. 시 쓰는 상품으로서 시인-193
    5. 결론-199
  문순태 소설의 해한 과정 연구 -『41년생 소년』을 중심으로 / 문지환-203
    1. 들어가며-203
    2. 분열과 한(恨)-208
    3. 절망과 희망의 변증법-212
    4. 삶의 회복과 새로운 미래-216
    5. 나가며-219
  윤대성「출세기」에 나타나는 대중매체와 소비사회의 특성 연구 / 염승한-223
    1. 서론-223
    2. 일방적인 이미지 부여를 통한 상품 생산-226
    3. 이미지의 사회적 상품화와 필요의 소비-230
    4. 결론-236
  이승우의 '자전적 공간'으로서『생의 이면』 / 임현-241
    1. 들어가며 : 자전적 소설에서의 진실성 문제-241
    2. 『생의 이면』에 드러난 규약의 과정-246
    3. 『생의 이면』에 열린 '자전적 공간'-260
    4. 나가며-264
  한승원의 글쓰기 전략 – 색채어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 정도미-267
    1. 들어가며-267
    2. 바다 체험에서 색채어 사용으로-272
    3. 색채어 사용과 바다 표상의 효과-279
    4. 나오며-292
  집의 헤테로토포스 – 손홍규 소설의 비인 모티프와 경계의 로컬리티 / 정미선-297
    1. 소수자, 장소감, 거주-297
    2. 집의 아토포스와 동물/인간의 의미망-303
    3. 고향의 장소 기억과 귀신/인간의 의미망-312
    4. 결론-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