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국립세종도서관
상세검색 닫기
자료유형
본문언어
출판년도 ~
정렬
상세검색 +

자료검색

검색결과

  • 홈으로
  • 검색결과
글씨 글씨 확대 글씨 축소
(한 사회학자의) 濟州筆帖 : 靑南齋 사회담론 / 신행철
(한 사회학자의) 濟州筆帖 : 靑南齋 사회담론 책표지
  • ·표제/책임표시사항 (한 사회학자의) 濟州筆帖 : 靑南齋 사회담론 / 신행철
  • ·발행사항 파주 : 백산출판사, 2018
  • ·형태사항 513 p. :지도 ;26 cm
  • ·주기사항 참고문헌 수록
  •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7631865  93330 : \30000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309.21199  듀이십진분류법-> 307.09519  
  • ·주제명 지역 사회학[地域社會學]지역 개발[地域開發]지방 정치[地方政治]제주도(특별자치도)[濟州道]
권별정보 자료위치출력 관심도서 보기 관심도서 담기

※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내용이 보입니다.

권별정보 안내
신청 편/권차 편제 저작자 발행년도 등록번호 청구기호 자료있는 곳 자료상태 예약자 반납예정일 매체구분
신행철 2018 SE0000424962 309.21199-18-1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신행철 2018 SE0000424963 309.21199-18-1=2 일반자료실(서고) 서고 비치(온라인 신청 후 이용) 0 - 인쇄자료(책자형) 
※ 신청 종류
- 대출예약신청:
자료상태가 ‘대출중’인 경우 해당 도서를 예약하여 도서 반납 시 우선적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
- 청사대출신청:
정부세종청사(6-3동, 2-1동)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반납기에서 도서 수령‧반납이 가능한 서비스
- 무인대출신청:
도서관 1문(정문)에 위치한 무인예약도서대출기에서 도서 수령이 가능한 서비스
- 서고자료신청:
서고에 보관된 자료에 대한 열람신청 서비스 이용방법: 로그인 → 자료검색 → [상세정보] 클릭 → 권별정보에서 자료 선택 →[서고자료신청] → 자료비치완료 문자 수신 → 해당 자료실에서 자료 수령
서가 둘러보기
서가둘러보기 로딩중

목차


제1부 소론(小論) Ⅰ: 제주 사회
1. 도민의식으로 본 제주개발의 성겨과 문제점
2. `제주도연구회` 창립 10년, 그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3. 국제적 요충지로 변하는 제주, 그 시대적 흐름에 대한 대비책을
4. 제주의 사회적 풍토
5. 국제화시대와 제주도민의식의 재조명
6. 21세기 선진 제주의 창조를 위한 도민의 자세
7. 지역사회 지도자와 리더십
8. 국제자유도시 시대를 맞는 제주인의 자세
9. 17대 총선과 제주 사회
10. 제주 사회 도민통합의 사회학적 접근
11.박정희의 두 얼굴과 제주도, 그리고 제주의 미래

제2부 소론(小論)Ⅱ : 사회 일반
1. 새마을운동의 본질과 그 실천방향
2. 『1984년』과 인류사회의 디스토피아적 미래
3. 지방시대의 의미
4. 90년대 한국 사회의 과제와 전망
5.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학자의 역할과 기여 방안
6. 사회변화 속의 청소년상과 그들이 지향해야 할 미래사회의 가치
7. 사회과학이란
8. 지역 언론과 지역사회
9. 사회복지활동과 인간관계
10. 저출산의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
11. 지역발전과 주민의 역할, 지역주민운동
12. `성불`

제3부 담론(談論)ㆍ칼럼Ⅰ : 제주 담론
1. 세계를 향한 제주도의 오늘, 무엇이 문제인가
2. 관광 그리고 이 고장의 토박이들
3. `신구간` 이대로 좋은가
4. 관광개발을 보는 도민의 시각
5. 누가 한을 남기려 하는가
6. 제주개발과 `특조법`의 제정
7. 민초의 삶 존중하는 신문을
8. 21세기 제주의 비전, `창조적 제주공동체`
9. 공동체를 추구하는 뜻은
10. 미래시제형 교육
11. 새 천년 제주, 어떻게 시작되고 있는가 
12. 새 천년 새해를 맞으며
13. 2003년 제주는
14. `열린 제주공동체`를 제창하며
15. 제주 사회의 지역혁신시스템, 그 주체의 형성과 네트워크
16. 제주 사회의 갈등과 도민통합론
17. 제주해군기지 종합계획과 실천, 무엇이 문제인가
18. 해군기지 건설에 정부의 전향적 자세를 촉구함
19. 이제 갈등의 시대를 끝내고 통합의 시대를 열어야 한다
20. 아직 아물지 않은 4ㆍ3의 상처
21. 제2기 제주특별자치 도정의 책무
22. 기초자치단체의 부활
23. 제주 사회통합, 원효사상에서 그 길을 찾는다
24. 제주 비전과 `제2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25. 새로운 10년의 시작, 제주는
26. 제주의 지방행정 관료조직 운영은 합리적인가
27. 제주특별자치도 5년의 평가에 붙이는 소회
28. 제주 자연자원의 가치를 지키고 가꾸는 일에 제주의 미래를 걸어라
29. 해군기지 건설. 이를 어찌할 것인가
30. `제주학 연구`에 거는 기대와 우려
31. 제주 7대 자연경관 이후
32. 정치바람 타는 임진년 새해, 제주에 부는 정치바람
33. 제주의 국회의원 선거, 그 정치지형의 변화
34. 이어도의 날 제정의 의의
35. 대선국면에서 제주는 무엇을 할 것인가
36. 대선정국에 도민통합을 생각한다
37.박 부ㆍ녀 대통령과 제주발전

제4부 담론(談論)ㆍ칼럼Ⅱ : 일반 담론
1. 진리는 대학인의 빛
2. 대학생의 심층적 가치
3. 대학지식인의 딜레마
4. 분단 논리의 극복과 민족공동체에의 지향
5. 대학생과 전투경찰
6. 토지의 이용과 소유
7. 파행의 현장을 보면서
8. 지방자치와 자치역량
9. 인문과학도로서의 대학생활
10. 지방화시대의 지방신문
11. 권위주의의 청산, 권위의 회복
12. 새로운 세기의 개막을 앞두고
13. 대의정치의 퇴조, 그리고 생활정치
14. 귀 막고 종 훔치다(掩耳??)
15. 지방대학으로서의 제주대의 역할
16. 제주대학교의 오늘, 그리고 희망찬 미래상
17. 제주대학교의 미래상, 학생 생활을 중심으로 본 제주대학교의 발전방향
18. 21세기 제주대학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제5부 수상(隨想)
1. 춘하추동Ⅰ 
2. 춘하추동Ⅱ 
3. 철조망 속에 이는 단상 
4. 고 김동식 교수의 영전에 부쳐
5. 제주 사회와 관광개발
6. `스승의 날`에 교육을 생각하며
7. `21세기 제주를 생각하는 모임` 창립
8. 우리의 모교 한림중학의 그때, 그리고 이제 우리는
9. 한림공원에 큰 뜻 심으신 송봉규 선생님
10. 미국문화 이야기
11. 제주의 또 하나의 중심도시, 서귀포
12. 아낌없이 주는 바보(?)들을 위한 변명
13. 짧은 미국 경험, 그 단편적인 이야기

제6부 논평, 토론, 기타
1. 또 하나의 칼럼
2. 선인들 삶의 뿌리 캐낸 기록: `오성찬, 『햇빛 비치는 마을 오조리』(제주의 마을 시리즈②)` 서평
3. 섬사람의 삶의 현장 규명: `조맹수의 『제주의 섬』` 서평
4. 문화의 현상을 지리적 환경요인과 결부해 논의: `송성대 저, 『문화지리학 강의 - 환경과 문화 -』` 서평
5. 『제주언론인클럽 15년』서평
6. 제주 지역 지방방송의 활성화를 위한 단편적 생각들
7. 제주도종합개발계획 수립 과업지시서 작성에 대한 의견
8. `21세기 제주를 생각하는 모임` 창립 1주년을 축하하며
9. 「제주도민의식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토론)
10.「제주 `평화의 섬` 모델과 추진전략 모색」(토론)
11. ``신수도 건설의 재평가와 대전 위상 정립``에 대한 토론 
12. 아름다운 `선돌` 공동체가 되기를 기대하며
13.「도민의식개혁 무엇이 문제인가?」(토론)
14. 고향을 그리는 사람들의 망향의 공간이고자 합니다
15. `더불어 숲`의 아름다운 공동체를 위하여
16.「제주 자연자원의 잠재적 가치에 대한 조명: 유네스코 등재 3개 분야 자원을 중심으로」(논평)
17.「제주매일」창간 특집 `원로에 제주의 내일을 묻다`(대담)
18. `소로(小路)길 인생`은 향기롭다

■ 특별기고: `108산사순례` 참여와 나의 불자생활 / 홍춘대